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LIFE

[헬스톡톡] 양배추! 추억을 소환하라!

 

배추와의 첫 만남이 어떠하셨나요?
몇 해 전에 선풍적인 인기를 가져왔던 ‘응답하라...’ 시리즈에 격하게 공감하는 세대라면, 경양식집 왕돈가스 옆에 양배추를 수북이 쌓아놓고 마요네즈와 케첩을 뿌려 최고의 외식메뉴로 인정받던 시절의 추억 다들 간직하시죠?


저는 초등학교 졸업식 때 처음으로 졸업식 단골메뉴로서 자장면이 아닌 양배추 샐러드를 곁들인 돈가스를 먹는 호사를 누려보았는데, 그때 설레었던 행복감이란…. 처음 접하게된 서양음식과 그의 사이드메뉴인 양배추샐러드. 우리 시절은 서양의 배추를 그렇게 마요네즈의 고소함에 케첩의 새콤 함을 버무려 소개받았던 것 같습니다.


3대 장수음식이자 만병통치약!
양배추는 서구에서 요구르트, 올리브와 함께 3대 장수음식으로 꼽히던 영양 많은 음식입니다. 기원전 2500년경 프랑스 서부 국경지대인 피레네 산맥 지방에 살고 있던 바스크인들이 먼저 먹기 시작했다고 전해지고 있고요.

 

그 이후 유럽 곳곳으로 전해졌으며, 로마인들은 양배추를 ‘만병통치약’으로 이용했다고도 하는데 탈이 난 위장이나 소화기관을 달래는 데 최고로 효과적이기 때문이지요. 한국인의 식단은 맵고 짠 음식이 많다보니 위장질환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러한 위염을 가라앉히는데 양배추는 탁월한 효과가 있답니다.


장에는 삶거나 찌거나 데치는 등 한번 열을 가한 야채가 가장 무리 없이 흡수된다는 사실은 아시죠. 양배추를 생으로 먹으면 신선한 비타민C, U를 많이 섭취할 수 있지만,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 장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 생야채섭취는 가스가 차고 더부룩한 증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때론 과육을 통째로 섭취하지 않고 끓여서 즙만 내어 먹는 것도 소화 흡수율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겠네요.

 

그러면 구체적으로 양배추에 대해 더 알아볼까요?
1. 위장질환 개선
비타민U는 위장점막을 보호해주기 때문에 헬리코박터균의 증식을 막아주고 위염을 치료해 줍니다. 위장질환으로 인해 양배추를 섭취할 때는 다진 쇠고기나  닭가슴살처럼 부드러운 육류와 함께 끓여 수프나 죽으로 드시면 영양이 잘 흡수 되고 속 쓰림도 다스려줄 수 있습니다.


2. 다이어트 음식
양배추는 100g당 27kcal로 저칼로리식품입니다. 다이어트 식품이면서 동시에 식이섬유도 풍부해 다이어트에 발생할 수있는 변비를 해소시켜주고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줍니다. 또한 양배추의 비타민C 함량은 레몬과 같은 양인 100g 중 40mg으로 항산화 효과를 가져다주고 여드름 피부도 개선해 준다고 합니다.


3. 항암작용
양배추에 함유된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성분은 장내의 유해 세균을 없애주고 발암물질을 제거해주는 작용을 하며, 암세포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없애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미시간 주립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주일에 양배추를 2 회 이상 섭취하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유방암과 자궁경 부암의 발병률이 낮아졌다고 합니다.


양배추를 씻을 때는…
혹시라도 잔류농약이 염려된다면 양배추 잎을 한 장 한 장뜯어내어 식초나 베이킹소다를 풀고 20분 정도 담근 후, 흐르는 물에 헹구어 내면 좀 더 건강한 섭취를 할 수 있겠네요. 농약은 수용성이라서 물에 담가놓으면 녹아서 배출됩니다.


간혹 양배추를 채 썰어 물에 담그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방법은 채 썬 단면으로 수용성비타민 또한 흘러나와 영양이 손실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넓게 뜯어서 담그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되겠습니다.


‘천고마비’의 계절답게 날씨가 선선해지니 식욕도 돌아오는 데, 살짝 찐 양배추와 불린 다시마에 찬밥 올려 강된장 넣고 크게 한 입 쌈 싸 먹으면 올가을 건강 걱정은 뚝!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