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HEALTH & BEAUTY

 

 

 

(조세금융신문=김지연 식품영양 전문기자·영양사) 면역강화제 키위

 

동장군이 기승을 부리는 겨울입니다.

추운 겨울에는 뭐니 뭐니해도 면역강화보다 좋은 아이템이 없죠. 겨울에 더 빛을 발하는 키위는 면역에 좋은 비타민C와 베타카로틴, 칼륨, 펙틴, 구연산 등 20종이 넘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있고, 그 밖에도 여러 다양한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베타카로틴과 비타민C는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고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아주는 면역증강의 효과가 탁월합니다. 키위는 약해지기 쉬운 체력을 위한 겨울 과일로 제격이지요.

 

비타민C가 제법 많다고 잘 알려진 과일에는 자몽이나 귤 등이 있지만 키위에는 그보다 약 2배 가량의 비타민C가 더 들어 있습니다.

 

원래이름은 차이니스 구스베리(Chinese gooseberry)였대요

 

 

 

 

키위는 중국이 원산지랍니다.

따라서 원래 이름이 ‘차이니스 구스베리(Chinese gooseberry)’였는데, 제2차 세계대전 후 키위의 맛에 반한 뉴질랜드에서 키위를 자국으로 들여가 대량생산에 돌입하였답니다. 그리고 뉴질랜드의 대표새인 키위새와 모습이 비슷하다고 하여 그 이름도 ‘키위’라 개명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는 1978년에 처음 들어와서 정착하기 시작했는데,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안 지방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습니다.

 

최근 농촌진흥청에서는 새로운 국산 키위 품종을 소개했습니다. 당도가 높은 품종, 껍질째 먹을 수 있는 품종, 비타민C가 풍부한 품종 등 다양한 키위를 내놓았지요.

 

이렇게 지금까지 출시된 국산 키위 품종은 모두 25종이나 된답니다.

특히 비타민C가 풍부한 품종인 ‘레드비타’는 보통 키위의 비타민 함량(100g당 30mg~80mg)보다 훨씬 높은 140mg이 들어 있습니다.

 

또한 골드키위 한 알에도 천연면역강화제 비타민C가 100g당 152mg이 들어있습니다. 이는 하루 비타민C 권장량(1일 100g당 100mg)보다도 높은 수치랍니다. 레드비타와 골드키위 모두 ‘비타민C의 보고’라 할 수 있습니다.

 

키위는 몸에 좋지만 부작용도 있답니다

 

칼륨이 많으니 신장질환이 있는 분은 유의하셔야 하고, 키위의 성질이 차갑기 때문에 평소 몸이 냉하시거나 장이 과민하신 분들도 양 조절해서 드셔야 합니다.

 

후숙 과일이니 단단한 상태에서 구입하셨으면 2~3일 정도 숙성기간을 거쳐 말랑말랑해지고 당도가 높아지면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에틸렌 가스를 방출하는 바나나 또는 사과와 함께 넣어두면 더 빨리 후숙이 되니 참고하시구요.

 

지난해에 고당도의 ‘스위트골드’ 키위가 제주 농가에서 첫 수확되었다고 합니다. 이 품종은 단맛이 강하고 과육이 연하기 때문에 후숙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맛있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양한 품종개량과 함께 갈수록 국내 농가 보급률도 올라가는 국산 키위 많이 드시고 면역 챙기세요.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