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식품 · 유통 · 의료

“익숙함 속 신선함”...전통 음식 재해석한 먹거리 '봇물'

‘할매니얼’과 ‘뉴트로’ 열풍에 전통 음료와 간식을 재해석한 ‘K-식품’들 눈길
식품업계, 전통 식음료 재해석한 먹거리 앞세워 MZ세대 소비자 취향 공략

(조세금융신문=민경종 전문기자) 최근 식품업계가 젊은 세대 사이에서 ‘할매니얼(할매 + 밀레니얼 세대)’과 ‘뉴트로(New + Retro)’ 열풍이 지속되자 전통 음료와 간식을 재해석한 먹거리 출시 열기로 뜨겁다.  

 

즉, 전통의 맛을 살리면서도 익숙한 맛을 더하거나, 언제 어디에서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편의성까지 고려한 제품을 줄줄이 선보이며 소비자 발길 잡기에 나서 눈길을 끈다. 

 

두유전문 정식품은 최근 쌍화차와 향긋한 모과를 맛있게 배합한 ‘모과쌍화’를 출시했다. 당귀, 대추, 작약 등 10가지 전통 원료를 배합한 쌍화에 국산 모과를 더해 산뜻한 맛을 살린 것이 특징인데, 

 

정상적인 면역 기능에 필요한 아연을 함유했고 꽃송이 버섯에서 추출한 베타글루칸까지 포함해 다가오는 환절기에 간편하게 건강을 챙길 수 있는 데 도움을 주는 제품이다. 

 

쌍화 음료 특유의 쌉쌀함을 줄이고 모과의 향긋함을 느낄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맛있게 즐기기 좋고 취향에 따라 시원하게 혹은 따뜻하게 마실 수 있다.

 

SP삼립은 약과를 활용한 스낵 ‘약과자’를 선보였다. 전통적인 약과의 모양을 본 떠 만든 스낵으로 약과 특유의 은은하게 느껴지는 시나몬 향과 달콤한 맛이 조화로운 제품이다. 

 

볶은 현미와 쌀가루를 사용해 고소한 맛을 냈고 쌀 조청을 제품 겉면에 발라 바삭한 식감을 느낄 수 있다. 한 입에 먹을 수 있는 적당한 크기로 하나씩 골라먹거나 아이스크림에 토핑으로 얹어 먹기에도 좋다.

 

풀무원 올가홀푸드는 김부각이 건강한 전통 스낵으로 주목받고 있는 점에 착안해 부각 명인과 함께 만든 ‘현미 부각’ 2종을 선보였다. 신제품 ‘명인이 만든 고소한 현미 부각’은 식품명인 제25호 오희숙 명인과 함께 만든 현미부각으로 영양 간식 또는 밥반찬으로도 곁들이기 좋다. 

 

특히 까다롭게 엄선한 김, 다시마에 찹쌀 풀을 입혀 말린 뒤 튀겨내는 전통 방식 그대로 만들어 원재료 고유의 영양은 보존하면서 고소하고 아삭한 식감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또 연세유업은 국내산 찹쌀을 활용해 쫄깃한 식감을 살린 ‘연세우유 바나나 생크림떡’을 내놨다. 젊은층 사이에서 떡을 활용한 디저트 맛집을 찾아다니는 ‘떡지순례’가 유행함에 따라 집 근처에서도 맛있는 떡을 만나볼 수 있도록 이번 제품을 선보였다. 

 

제품은 100% 국내산 찹쌀을 활용해 쫄깃한 식감은 물론 연세우유가 함유된 바나나 크림을 사용해 달콤한 바나나우유맛을 즐길 수 있다. 

 

오리온은 국산 쌀로 만든 쌀과자 ‘뉴룽지’를 출시했다. 쌀 소비 활성화를 위해 개발한 제품으로 일반 스낵과 다르게 튀기지 않고 오븐에 구워 쌀을 더욱 맛있고 건강하게 즐길 수 있다. 또한 시럽을 더해 가볍고 바삭한 식감에 달콤 고소한 맛이 조화롭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