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9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은행

10월 금통위에 쏠린 눈…대표적 비둘기도 ‘금리인하’ 고심

신성환 금통위원 기자간담회…“10월 결정 아직 못 정해”
“정책 금융, 가계부채 증가요인 맞다고 판단”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 중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로 통하는 신성환 위원이 현재 통화정책 결정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25일 신 위원은 한은에서 개최된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인하 시점 관련 “가계부채 상승 모멘텀이 확실하게 둔화할 때까지 (기준금리 인하를) 기다릴 여유는 없다. 우리나라 경제 상황이 그만큼 녹록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10월 (금통위) 의사결정을 어떻게 해야할지 솔직히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자타공인 비둘기파로 통하는 신 위원도 금리인하 적정시기를 고심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은행은 내달 11일 10월 기준금리 결정 금통위를 앞두고 있다.

 

앞서 한국은행이 이달 금통위를 건너 뛰는 사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빅컷(기준금리 0.5%p 인하)을 단행했고,  현재 한은이 10월 금통위에서 어떤 결정을 내릴지 이목이 쏠리는 상황이다.

 

신 위원은 금리 결정의 핵심 변수로 집값과 가계부채를 꼽았다.

 

그는 “저는 대표적인 비둘기파지만 통화정책을 결정하는데 금융안정 쪽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며 “주택가격은 심리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금리를 내리면 모멘텀을 강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주택가격 하나만 보고 금리를 결정할 순 없지만 지금은 주택가격이 중요 위험으로 부각됐기 때문에 브레이크를 잠근 것”이라며 앞서 금리를 동결한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주택은 기본적으로 레버리지를 수반하는게 당연한 자산이고, 국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주식과는 비교가 안 되게 중요하다. 특히 주택가격 상승 모멘텀이 강한 상태에서 금리를 인하하면 불안심리를 부추겨 주택 가격과 가계부채 증가 모멘텀을 확대할 수 있고 이 거품이 국민 경제에 상당한 충격을 주게 된다”고 덧붙였다.

 

또한 신 위원은 이달 주택가격 상승세가 둔화된 부분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주 대비 0.05% 상승했다. 직전주에 0.07% 올랐던 것보다 상승폭이 축소된 모습이다.

 

그는 “9월 들어 주택가격 상승세가 꺾인 점은 개인적인 우려를 줄여주고 있지만 추세저으로 이어질지에 대한 걱정은 든다. 개인적으로도 10월 금통위 때 어떤 의사결정을 할지 아직 모르겠다. 데이터와 경제상황 등을 더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신 위원은 가계부채 증가 원인 중 하나로 정책금융이 지목된 것에 대해선 “규모만 볼 땐 주요인이 아니지만 요인 중 하나였다고 본다”며 “상환능력이 없는 사람에게 정책금융을 제공하는 것은 극단적으로 말해 약탈적 대출이라고까지 볼 수 있다. 상환 능력 안에서 대출해주는 원칙을 지켜야 한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신 위원은 통화정책 결정의 어려움에 대해서도 토로했다. 그는 “저는 비둘기인데 금리를 내리고 싶지 않겠냐”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험이 현실화되고 있기 때문에 상당히 어렵지만 인내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 통화정책은 아시다시피 경제정책에 무차별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강력하지만 무디다. 특정 섹터에 타깃하기 어렵지만 현재는 특정부문이라고 할 수 있는 주택 문제가 위험으로 부각된 상황”이라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