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은행

한은 금통위, 매파 가고 비둘기 온다…커지는 ‘금리인하’ 기대감

기재부·대한상의 추천...이수형 서울대 교수, 김종화 전 금융결제원장
‘매파’ 조윤제·서영경 위원 퇴임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한국은행이 신임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위원으로 이수형 서울대 교수와 김종화 전 금융결제원장이 추천됐다고 19일 밝혔다.

 

금통위원은 7명으로 구성되는데 당연직인 한은 총재와 부총재를 제외하고 기획재정부 장관과 금융위원장,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전국은행연합회장이 1명씩 추천하고 대통령이 임명한다.

 

기획재정부는 이 교수를, 대한상의는 김 전 원장을 각각 추천했다.

 

이 교수는 1975년생으로 숙명여고와 서울대 국제경제학과를 졸업했다. 행저고시 42회 재경직 차석으로 기재부에 입부해 국제금융국에서 근무했으며, 공직을 떠난 뒤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고 메릴랜드대와 서강대 경제학과 교수 등을 역임했다.

 

또한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커설턴트로 활동했으며 현재 아시아태평양노동경제학회 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기재부는 이 교수 추천 사유에 대해 “통화정책의 글로벌 연계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세계경제 동학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논의를 심도 있게 이끌어 나갈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1959년생인 김 전 원장은 부산 동성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83년 한은에 입행한 후 금융시장국 팀장, 국제 국장, 부총재보 등을 역임했다.

 

또한 금융결제원장, 부산국제금융진흥원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치며 금융시스템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풍부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한상의는 김 전 원장 추천 사유에 대해 “금융전문가로서 국내외 경제상황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며 통화정책 수행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한편 서영경, 조윤제 금통위원은 이날 오후 퇴임식을 갖는다. 이들은 통화 긴축 선호인 ‘매파’로 분류된다. 그런 만큼 이들 두 의원이 동시에 퇴임하면서 향후 통화정책 논의 방향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 귀추가 주목된다.

 

시장에선 이 교수와 김 전 원장이 다소 비둘기적(통화 완화 선호) 인사라는 평가가 나오는 만큼 올해 하반기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