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은행

캄캄한 한국경제…한은, 올해 성장률 최저 1.6% 관측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정치 불확실성 등 영향
하반기 중엔 경제심리 이전 수준 회복 예상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최저 1.6%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관측했다.

 

20일 한은은 블로그를 통해 “지난해 12월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정치 불확실성과 이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 영향으로 올해 성장률이 내수 중심으로 약 0.2%p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됐다”며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가 기존의 1.9%에서 1.6~1.7%로 하향 조정될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다만 한은은 정치적 불확실성이 올해 1분기까지 이어지다가 2분기부터 점차 해소, 하반기 중 경제심리가 이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한은은 올해 정부 예산안이 감액 처리돼 성장률을 0.06%p 끌어내리겠으나, 정부의 예산 조기 집행 등 경기 부양책이 이를 상쇄할 것으로 관측했다.

 

이어 한은은 “다음달 전망치가 1월에 예상했던 것보다 높아질지, 낮아질지는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시기와 정부의 추가적인 경기 부양책, 미국 신정부의 경제정책 전개 등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에 대해선 “지난 12월 초 예상치 못한 계엄 사태 이후 지속된 국내 정치적 충격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경제 심리가 크게 악화하고 내수가 위축되면서 지난해 11월 전망을 상당 폭 하회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4분기 성장률이 당초 예상(0.5%)을 크게 하회하는 0.2%나 이를 소폭 밑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지난해 연간 성장률도 기존 전망치 2.2%를 하회하는 2.0~2.1%를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이재명 vs 김문수, 조세정책의 길을 묻다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명예교수,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조세정책은 단순한 세금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철학과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세금은 사회계약의 이행 수단이며, 공공서비스의 재원일 뿐 아니라 미래세대와의 약속이라는 점에서 각 후보의 조세 비전은 중요한 정책 선택의 기준이 된다. 이재명 후보는 ‘조세 정의’와 ‘보편 복지’를, 김문수 후보는 ‘감세와 시장 자율’을 중심 기조로 내세운다. 이처럼 상반된 철학이 세금 정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유권자에게 실질적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재명 후보: 분배 정의와 조세 환류 이재명 후보는 국토보유세, 금융소득 통합과세, 디지털세, 탄소세 등 자산과 환경에 기반한 새로운 세목의 신설 또는 기존 세목의 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과세를 통해 형성된 세수를 ‘조세환급형 기본소득’ 형태로 전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환급함으로써, 소득 재분배와 소비 진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금융소득 통합과세는 기존의 분리과세 방식을 폐지하고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시켜 누진세를 적용함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