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韓, 재생에너지 투자매력도 세계 17위→13위…그린 뉴딜 영향

EY, 재생에너지 국가별 매력 지수↑
AI·수소기술이 탄소중립 ‘게임체인저’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한국이 글로벌 재생에너지 투자 매력도 순위에서 지난해 하반기보다 네 단계 상승한 13위를 기록했다.

 

정부 주도 그린 뉴딜 정책이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이 발간한 ‘재생에너지 국가별 매력 지수(RECAI)’ 2020년 하반기 보고서에서 한국이 주요 40개 국가 중 투자 매력도 13위를 기록했다.

 

2018년 하반기만 해도 31위에 그쳤던 것에 비하면 괄목할 상향이다.

 

한국은 매력 지수 총점 56.9점을 받으며 1위인 미국(70.2)보다는 13.3점 낮았고, 40위인 오스트리아(47.4)보다는 9.5점 높았다.

 

한국의 재생에너지 종류별 평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분야는 태양광발전(Solar PV)이었다.

 

중국이 2위, 호주가 3위를 기록했다.

 

EY는 “한국 정부의 그린 뉴딜 발표로 인해 투자자들은 한국의 해상풍력 분야를 특히 매력적으로 바라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밖에 한국의 탄소중립(net zero) 실현에 수소,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의 활용이 중대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범중 EY한영 에너지 섹터 리더는 “국내외 재생에너지 생산량 증가로 인해 늘어날 잉여 전력을 수소로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이 향후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며 “저장량을 극대화한 화학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코로나19로 인해 확산되고 있는 친환경 움직임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EY는 재생에너지 활성화의 걸림돌이자 해결해야할 과제로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grid stability)를 지목했다.

 

안정적인 중앙 공급망 관리에 유용한 기술들로sms IoT(사물인터넷), 센서, 빅데이터, AI 기술이 꼽혔다. 정밀한 전력 수요 예측 등을 가능하게 해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