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자수첩] 서민이라며 울부짖는 억대 연봉자, 그 이름 ‘1주택자’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1주택자면 다 서민인데, 여당이나 정부가 말이야!”

 

요즘 부동산 취재하면서 매우 자주 듣는 말이다.

 

취재 대상은 주로 40~50대. 명문대를 나온 억대연봉자들이다.

 

이들의 거주지는 강남 3구, 용산, 마포, 목동, 성동, 목동 등.

 

집값이 1억, 2억, 10억 오른거 인정한다고 한다.

 

그래도 너무하다. 정부 세금 올리기가 제정신이 아니라고 한다.

 

듣고 있으면 기자도 제정신이 아닌 거 같다.

 

가장 흥미로운 주장은 

 

압구정 50억원짜리 아파트 사는 ‘평범한 노동자’가 세금 1억 냈다는 거다.

 

어디서 쌩 거짓말을.

 

2019년 기준 재산세 5000만원 넘겨 세금 내는 사람이 전국에 500명도 안 된다.

 

종부세 4300만원 내는 사람이 기업 포함 1827명 정도 된다.

 

반면 연봉 1억 넘는 사람은 85만1906명이다.

 

억대 연봉 받고 집 사면, 재벌가 로열패밀리, 건물주 골든 패밀리 그리고 기업이 되나.

 

그리고 하나 더.

 

1주택자 중 공시가격 9억 됐다고 고분고분 세금 내는 사람 어딨나.

 

두 채 늘릴 거 아니면 20억짜리 집.

 

부부 둘이서 명의 나누면 종부세 안 낸다.

 

세무사한테 컨설팅 받았을 때 그렇게 들었으면서

 

아내 공동명의는 죽어도 안 된다는 어르신.

 

그냥 종부세 내세요.

 

 

좋다. 그래도 세 부담이 세다고 하자.

 

1주택자니까 서민이니까 세금 깎아줘야 한다고 한다.

 

그런데 언제부터 서민의 기준이 억대연봉자에, 10억, 20억 짜리 집 가진 사람이 됐나.

 

빚을 끌어다 샀으니 서민이라고.

 

1주택자가 다 서민이라면 100억대 타워팰리스에 람보르기니 모는 1주택자도 서민이겠네.

 

집이든, 비트코인이든, 주식이든, 채권이든, 파생상품이든.

 

1~2억 버는 사람이 10억, 20억 꿔서 특정 자산에 돈 넣은 거.

 

그걸 베팅이라고 하지 않나.

 

 

죽어라 공부해서 열심히 산 죄밖에 없다고도 말한다.

 

명문대 나와 대기업 들어가서 40대 부장, 50대 임원으로 사는 사람.

 

당연히 죽어라 노력해서 된 거 맞다.

 

노력만 하면 가능한가.

 

하루 한 끼 먹어가며 영양실조로 노란 하늘 보며

 

영어사전 씹어가며 단어 외운 수험생이

 

한달 300, 400만원씩 강남 대치동 학원에 돈 부어가며

 

공부한 사람 이길 수 있나.

 

 

마찬가지로 중상층에서 태어나 죽을 듯 노력해도

 

재벌 로열 패밀리나 건물주 골든 패밀리보다 백 수, 천 수 아래인 건 불가피하다.

 

 

그래서 96% '서민'들이 종부세를 내지 않고, '그대'들은 종부세를 내는 거다.

 

 

더 기 막힌 건 (1주택자 = 서민)이란 정체불명의 정의를 여론이 퍼트린다는 거다.

 

집값 5억원이 안 되는 분께서 종부세 올라 나라 망한다는 이야기를 하실 때

 

명색이 세금 담당 기자로서 뭔가 단단히 잘못 됐다는 생각이 든다.

 

 

정치인들이 여론에 편승해 앞, 뒷말 바꾸는 거야 본업이니까 그렇다 치고

 

교수가, 선생님이, 여론이 그러면 그건 사기치는 거다.

 

 

베팅과 사기.

 

이 두 가지 협잡이 부동산 세금 폭탄론 만드는 거고

 

(1주택자 = 서민)이란 억지 논리를 쥐어짜는 거다.

 

 

최근 1억 종부세 여론이 인기라는데 

 

그건 다음 기자수첩에서 밝히겠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칼럼] 관치금융의 덫에 걸린 농협금융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최근 농협금융지주와 대주주인 농협중앙회가 NH투자증권 사장 인선을 놓고 갈등을 빚은 바 있다. 여기에 금감원까지 가세하면서 관치금융에 대한 논란이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NH투자증권 정영채 사장의 연임 도전과 관련이 있다. 정 전 사장은 옵티머스 펀드 사태를 일으켜 금감원으로부터 중징계를 받은 장본인이다. 여기에다, 폐쇄적인 조직운영, 개인 사법리스크 등 여러 악조건 속에서도 6년간 장기 집권에 성공한 저력을 보였다. 그러나 증권사태가 범농협 차원의 규제 리스크로 확산되는 가운데 정영채 전 사장이 4연임에 도전하자, 대주주인 농협중앙회가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쟁점을 살펴보면, 농협중앙회는 이번에는 농협 출신 인사를 추천해 NH투자증권의 내부통제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반면, 이석준 농협금융지주 회장은 자본시장 전문가를 앉혀야 한다고 반발하면서 농협중앙회와 마찰이 일어난 것이다. 전문성이 중요하다는 이석준 지주회장의 말도 일리가 있고, 범농협 차원의 리스크관리가 중요하다는 대주주의 판단도 일리가 있다. 참고로, 농협중앙회는 농협금융지주 지분 100%를 소유한 1인 최대 주주다. 문제는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