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정치

[기자수첩] 이재명 중도보수 선언과 엉터리 진보‧보수 색깔론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여론에서의 진보와 보수 담론은 수준이 낮다.

초등학교 운동회 청팀‧홍팀 색깔놀이 정도다.

 

진보는 영어로 ‘Progress’ 진전이라고 쓰고,

한자로도 進步, 한 발자국 나아가는 움직임을 뜻한다.

 

보수는 영어로 ‘Conservate’ 보존이라고 쓰고,

한자로도 保守, 보호하고 지키는 움직임을 뜻한다.

 

사회는 사람처럼 강점과 약점이 있는데,

현 강‧약점을 유지하면 보수

현 강‧약점을 개편하면 진보다.

 

강점은 그 사회의 부와 권력이 쏠리는 곳

약점은 그 강점을 위해 희생하는 곳이다.

 

한국 사회의 강점은 부동산과 생산수단(사업체)이다.

서울공화국. 부동산공화국. 삼성공화국.

 

약점은 사람, 노동자다.

어렸을 때 쥐어짜서 선발하고,

나이 차면 일 시켜서 갈아쓰고,

늙어서 힘 빠지면 내버린다.

 

과열 학력경쟁. 최상위 근로시간. 최하위 국제노동권지수.

실질소득 저하. 최악의 합계 출산율. 최악의 노인빈곤률.

 

노동자 갈아서

부동산‧기업 키우는 나라.

그게 한국이다.

 

거대 2개 정당의 경제정책을 보면

결국 다 기존 강점

부동산‧기업에 얽매였다.

 

현재의 강점은 가장 큰 취약점이기도 한데

90년대까지는 생산요소 과다투입이 그럭저럭 먹혔다.

그런데 기술도약 시대에는 혁신이 필요하고,

혁신은 사람이 일으킨다.

 

그간 거대 양당은 진보적인 수단을

동원해 김을 조금 빼려는 시늉을 했다.

 

박근혜 정부 때 경제민주화,

문재인 정부 때 부동산과세강화 등이다.

 

그렇지만 최종 지향점은 늘 보수였다.

박근혜 정부 때 빚내서 집 사세요, 초이노믹스.

문재인 정부 때 금리 풀고 전세대출 풀고. 줄푸대 정책.

기업 감세는 누구든 어디서든 이었다.

 

두 거대정당은 그렇게 옹기종기

중도보수 동네에서 살았다.

 

그런데 윤석열 12‧3 내란이 터졌다.

국민의힘 일부는 짐을 싸서

독재 파시즘 동네로 이사했다.

민주당은 빈집을 매입할 절호의 기회였다.

 

이재명 당 대표의 중도보수 지향은 새삼스럽지 않다.

제 위치 확인, 이웃집 매입 발표, 그 정도다.

 

지금 한국경제는 정말로 벼랑 끝 위기에 놓였다.

어느 날 갑자기 온 위기도 아니다.

위기는 20여 년에 걸쳐

일본보다 더 저성장으로

빨려가는 구간에 들어섰다.

 

12‧3 내란이 토하면 되는 극독이라면

경제위기는 장기치료가 필요한 점진적 중독이다.

 

최근 20년 한국 정치사에서

한국 대통령은 그 인물이 대단하다기보다는

국민의 욕망이 투영된 결과물이었다.

 

개혁해야 산다는 욕구. 나만 부자 되고 싶다는 욕구.

과거가 그립다는 욕구. 안정되고 싶다는 욕구.

상대를 짓밟고 싶다는 욕구.

 

한국은

이대로 부동산‧대기업을 안고 갈 것인가.

계속 사람 갈아서 갈 것인가.

 

이제 다시 선택의 순간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이재명 vs 김문수, 조세정책의 길을 묻다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명예교수,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조세정책은 단순한 세금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철학과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세금은 사회계약의 이행 수단이며, 공공서비스의 재원일 뿐 아니라 미래세대와의 약속이라는 점에서 각 후보의 조세 비전은 중요한 정책 선택의 기준이 된다. 이재명 후보는 ‘조세 정의’와 ‘보편 복지’를, 김문수 후보는 ‘감세와 시장 자율’을 중심 기조로 내세운다. 이처럼 상반된 철학이 세금 정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유권자에게 실질적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재명 후보: 분배 정의와 조세 환류 이재명 후보는 국토보유세, 금융소득 통합과세, 디지털세, 탄소세 등 자산과 환경에 기반한 새로운 세목의 신설 또는 기존 세목의 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과세를 통해 형성된 세수를 ‘조세환급형 기본소득’ 형태로 전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환급함으로써, 소득 재분배와 소비 진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금융소득 통합과세는 기존의 분리과세 방식을 폐지하고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시켜 누진세를 적용함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