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강릉 33.9℃
기상청 제공

[이슈체크] 폭망한 4월 세수 전년대비 8.4조↓…부가세 쥐어짜기 빌드업 시작됐다

[이미지=셔터스톡]
▲ [이미지=셔터스톡]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기획재정부가 31일 ‘4월 국세수입 현황’을 공개하고, 올해 4월까지 총 국가 세금 수입이 125.6조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년대비 8.4조원 감소한 수치다.

 

원인은 법인세와 부가가치세다.

 

법인세는 지난해 기업실적 하락에 더해 전년대비 –12.8조원이 빠졌고, 부가가치세는 물가급등으로 4.4조원이나 늘었다. 

 

이렇게 둘이 상쇄되고, 각 세목별 소소한 조정이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최종 하락 폭은 -8.4조원 정도로 집계됐다.

 

내수‧수요 감소 국면에서 부가가치세가 늘었다는 건 물가가 폭등했다는 뜻이다.

 

심각한 건 연간 목표치 대비 달성률(진도율)인데 평년에는 4월까지 1년 목표치의 38.3%의 실적을 거뒀지만, 올해 4월은 34.2%로 진도율 평년치보다 10%p 가량 낮아졌다. 올해도 또 세수펑크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뜻이다.

 

[자료=기재부]
▲ [자료=기재부]

 

중요한 건 대응인데 정부는 감세 노래를 부르고 있다.

 

정부에 세금이 들어오는 구멍은 크게 세 가지다.

 

직접세(소득세, 법인세), 간접세(부가가치세, 소비세), 그리고 자산 관련 세금(종합부동산세, 상속증여세).

 

대기업 근로자 소득세,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대기업 법인세는 이미 깎아줬고 31일 윤석열 대통령은 종합부동산세 폐지, 상속증여세도 감세하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이 말하자마자 세금이 깎이는 건 아니지만, 과세표준 조정 및 감세로 종부세는 2021년에 비해 거의 반토막이 날 전망이다.

 

지금 세금이 나오는 구멍은 간접세, 부가가치세 뿐인데 물가를 올려버리면 굳이 세법을 안 건드려도 얼마든지 서민을 쥐어짤 수 있다.

 

그 대표적 카드가 공공요금 인상이다.

 

공공요금 인상은 지금 착실히 빌드업이 이뤄지고 있다.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이 지난 16일,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지난 22일 각각 기자들을 불러 모아 공공요금을 올려야 한다고 입을 모아 요구했다.

 

인상 시기도 여름이 적기라는 말이 나온다.

 

현 정부 1년차만큼의 공공요금 대란이 발생할 경우 냉방비 폭탄, 난방비 폭탄, 물가 폭등으로 인한 부가가치세 증세까지 3단 대란이 다시 서민을 덮치게 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