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기업 수요 맞춤형 교육'…한국프랜차이즈協, 2021년 재직자 교육 협약기업 모집

내년 교육계획 수립 위한 수요조사 23일까지…"기업에 필요한 재직자 역량 강화 지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회장 정현식·이하 협회)가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실무 역량 교육을 제공하는 ‘2021년도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교육 과정’ 협약기업 모집과 함께 내년도 교육 수요 조사를 10월 23일까지 진행 중이다.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교육 과정’은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전개하는 재직자 교육 사업이다. 분야별 단체·기관 등이 인재 확보 및 재직자 역량 강화에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무료 교육을 제공하며, 협회는 지난 2015년부터 프랜차이즈 분야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협회는 협약을 맺은 기업의 재직자들에게 공신력과 전문성을 갖춘 현장 맞춤형 교육 커리큘럼으로, 매년 200여개 기업의 재직자 700여명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올해도 총 14개 과정 37회차 일정으로 교육을 진행 중이다.

 

교육 과정은 기업·재직자들의 수요 조사와 만족도 조사, 전문가 교육 과정 개발 회의, 업계 전문가 강사풀 운영 등을 통해 현장 수요 맞춤형으로 수립된다.

 

 

특히 최근 업계 과포화, 코로나19, 배달앱 비용 증대, 규제 강화 등으로 산업 내 불확실성이 크게 증대됨에 따라, 2021년 교육에는 기업 수요 맞춤형 커리큘럼이 더욱 강화된다.

 

이를 위해 협회는 23일(금)까지 협약기업, 협약예정 기업, 가맹본부 교육·HRD 담당자, 가맹본부 재직자 등을 대상으로 교육 수요조사를 실시 중이다. 조사 결과를 충실히 반영해 기업 역량 강화와 위기 극복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협약 희망 기업은 협회 교육원 홈페이지(http://www.edukfa.or.kr)에서 협약서를 다운받아 날인 후 제출하면 된다. 고용보험 납입 사업장만 가능하며, 대표자도 고용보험에 가입되어있는 급여형 대표자만 가능하다. 네이버에서 ‘프랜차이즈 재직자 교육’으로 검색해도 교육원에 쉽게 접속할 수 있다.

 

수강 비용은 전액 무료이고, 교육은 서울 강서구 SBA 국제유통센터 교육장과 서초구 협회 교육장에서 커리큘럼에 따라 1~2일 과정으로 진행된다. 신청자가 한 기업당 20명 내외일 경우 출장 교육도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협회 교육사업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