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기상청 제공

올 상반기 국내 벤처·스타트업 투자 90% 이상이 중소형

삼정KPMG, ‘알짜 매물’에 대한 전략적인 투자 필요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벤처∙스타트업 투자 대부분이 중소형 투자에 쏠린 것으로 나타났다.

 

삼정KPMG(회장 김교태)가 22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벤처∙스타트업 투자건수 중 총 90.1%(145건)이 200억원 미만의 중소형 투자로 나타났다.

 

200억~1000억원의 중대형 투자는 9.3%(15건), 1000억원 이상의 대형 투자는 1건(0.6%)으로 신선 식품 온라인 쇼핑몰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에 투자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벤처 기업에 대한 신규 투자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한 1조6495억원으로 나타났다.

 

[그래픽=삼정KPMG]
▲ [그래픽=삼정KPMG]

 

산업 분야별로는 유통∙커머스가 4323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헬스케어∙바이오(2,550억원)와 소프트웨어∙솔루션(1,745억원), 모빌리티(1,432억원), 게임∙미디어·콘텐츠(1,260억원) 순이었다.

 

건당 평균 투자액이 가장 높은 산업 역시 유통∙커머스(197억원)이나, 컬리를 제외하면 111억원으로 줄어들며, 건당 100억원 이상 투자액을 기록한 분야는 모빌리티(159억원), ICT 제조업(118억원) 등으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 글로벌 VC 투자액은 1200억 달러 이상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투자 건수는 1만여 건으로 코로나 이전에 비해 약 3분의 1 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엔젤과 시드 단계 등 초기 투자가 급격히 줄고 후기 단계 투자를 선호 현상이 심화됐다.

 

글로벌 벤처∙스타트업이 도약할 수 있는 M&A와 IPO 시장도 크게 위축됐다.

 

국경 봉쇄로 기업 실사가 어려워지면서 크로스보더 M&A 거래는 줄었으며, 벤처∙스타트업들은 IPO를 미루고 기업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VC나 PE 추가 투자 라운드를 통해 확보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당수의 VC 투자사는 코로나19로 인해 신규 펀드 조성이나 신규 투자를 위한 딜 소싱보다는 기존 투자 포트폴리오 재정비에 집중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래픽=삼정KPMG]
▲ [그래픽=삼정KPMG]

 

삼정KPMG가 올해 상반기 3억 달러 이상 VC 투자를 받은 해외 기업 중 52개사를 분석한 결과, 업종별 최다투자 분야는 모빌리티 분야(10개)였으며, 헬스케어∙바이오(8개), 금융∙핀테크(8개) 분야가 뒤따랐다.

 

투자 유치 규모가 가장 큰 기업은 구글(알파벳)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사 웨이모(Waymo)와 인도네시아 승차공유 기업 고젝(Gojek)이었다.

 

주목할 만한 글로벌 VC 투자 트렌드로 ▲중국∙신흥국에 몰리는 에듀테크 ▲코로나19로 탄력받은 음식∙신선식품 배달 플랫폼 ▲유전자 치료 및 마이크로바이옴 ▲승차 공유 서비스와 모빌리티 기술 ▲핀테크 유니콘 ▲클라우드 기반 SaaS(Software as a Service) ▲미국, 중국 중심 프롭테크 ▲숏폼(Short-form) 동영상 스트리밍 등이 꼽혔다.

 

김이동 삼정KPMG 스타트업지원센터장은 코로나로 벤처∙스타트업 투자가 위축됐지만, 한편으로는 유망한 ‘알짜 매물’이 늘어날 가능성도 크다며 국내 기업들의 전략적인 벤처∙스타트업 투자 참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