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맑음강릉 20.3℃
기상청 제공

세무사회 최초 '한마음 체육대회' 개최...뜨거운 화합의 열기로 가득

전국 7개 지방회, 130개 지역회 세무사 공동체 1200여 명 참가
승패보다 서로 응원...끈끈한 정 나눈 ‘세무사 공동체의 장’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한국세무사회(회장 구재이)가 역사상 처음으로 개최한 한마음 체육대회는 한마음 한뜻이 된 세무사 공동체가 '최초, 최고'로 빛났던 한 편의 감동 드라마였다. 

 

한국세무사회는 6일 충남 천안 상록리조트 대운동장에서 ‘2024 한국세무사회 한마음 체육대회’를 열고 회원 화합의 뜨거운 열기로 가득 채웠다. 이날 진행된 한마음 체육대회는 전국 7개 지방세무사회 130개 지역세무사회로부터 모여든 1200여 명의 회원이 참석해, 한국세무사회가 갈등과 반목의 고리를 끊어내고 단합과 소통의 시대를 맞이했음을 증명해 냈다. 

 

 

이번 행사는 구재이 한국세무사회 회장의 힘찬 개회 선언을 시작으로 회원들이 단합하여 자랑스러운 세무사 로고를 카드섹션으로 완성하는 진풍경을 연출해 내며 체육대회의 막을 올렸다. 

 

1부 행사는 맨발걷기국민운동본부 박동창 회장의 ‘맨발로 걷는 건강한 삶’ 강연과 몸풀기 체조, 비전 탑 쌓기, 파도타기 릴레이가 진행됐으며 이후 맛있는 도시락과 즉석 훈제바비큐가 제공되어 가을 소풍 같은 정겨운 분위기 속에서 참석 회원 모두 만족스러운 점심식사를 했다.


점심시간 후에는 보물찾기 게임이 진행되어 많은 회원과 회원 가족들이 보물을 찾아 구슬땀을 흘리며 동심으로 돌아가기도 했다. 

 

 

 

 

 

1부 행사가 끝나고 가수 지원이의 화려한 공연으로 2부의 막이 올랐다.  2부 행사는 OX 퀴즈, 훌라후프 릴레이, 지구를 굴려라!, 판 뒤집기, 팔씨름 대회, 어린이 장기자랑 등 다채로운 행사들이 진행되어 축제의 열기를 한껏 고조시켰다. 2부 축하공연으로는 가수 주미가 화려한 공연을 선보여 회원들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주었다. 

 

마지막 순서인 시상식에서는 대전지방회가 종합 1위, 부산지방회가 종합 2위, 서울지방회가 종합 3위를 차지하여 상금을 부상으로 받았다. 지방세무사회별 참가우수상은 대전지방회, 지역세무사회 참가우수상은 예산지역회가 차지했다. 

 

또한 지난 8월 24일 개최되었던 제1회 한국세무사회장배 축구대회 시상이 이어졌으며 우승을 한 서울지방회 축구팀에는 상금 200만원과 트로피가, 준우승을 차지한 중부회 축구팀에 상금 100만원과 트로피가 수여되었다. 

 

각 지방회 소속 축구팀 최우수 선수상에는 서울회 김정률 세무사, 중부회 강서찬 세무사, 부산회 황철연 세무사, 인천회 양형우 세무사, 대구회 조동원 세무사, 대전회 심상보 세무사가 수상하였고 대회 중 총 6골을 넣어 크게 활약한 서울회 조한준 세무사가 득점상을 수상했다.

 

또한 이종성 외 3인의 세무사가 최고령 참여자로 공로상을 수상하였고 김현중 세무사가 최연소 참여 회원으로 루키상을 수상했다. 이처럼 세대를 아우르는 많은 회원들이 ‘하나가 된 세무사 공동체’의 위상을 실감하며 회원 축제의 한마당에 푸욱 빠져들었다. 

 

한국세무사회 구재이 회장은 “그동안 회원들을 분열시켰던 반목과 갈등을 떨쳐 버리고 회원 화합의 상징인 한마음 체육대회를 개최하게 되어 영광이다”며 “오늘부터 우리는 하나다. 1만6천여 회원들이 하나가 된 세무사 공동체로 더 나은 미래, 세무사 황금시대를 향해 앞으로 나아갈 때”라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ㅡ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