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강릉 33.9℃
기상청 제공

bhc, 2024년 TOP 5 메뉴 공개 및 특별 할인 행사 초대

2024 메뉴 ‘매운맛’ 강세...▲뿌링클 ▲맛초킹 ▲골드킹 ▲후라이드 ▲핫후라이드 순
상기 TOP 5 메뉴 4,000원 할인 이벤트 전개...다음달엔 업그레이드된 앱도 공개

(조세금융신문=민경종 전문기자) 치킨업계 외형 1위 브랜드 bhc가 2024년 한 해 동안 소비자들에게 가장 사랑받은 메뉴 트렌드와 인기 메뉴 TOP 5를 공개하고, 특별 할인된 가격에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지난 9일 bhc 전언에 따르면 지난해 판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메뉴 트렌드로는 ‘매운 맛’ 제품들이 강세를 보였으며 개별 메뉴로는 ‘뿌링클’이 전체 메뉴 중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후라이드치킨’, ▲‘핫후라이드치킨’, ▲‘맛초킹’, ▲‘양념치킨’이 인기 순위 상위권에 올랐다.

 

이외에도, 치킨 및 사이드 메뉴 전반에서 ‘매운맛’이 두각을 나타냈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bhc의 대표 메뉴 ‘뿌링클’은 출시 이후 10년 동안 변함없이 1위를 유지하며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뿌링클 콤보 ▲뿌링클 순살 ▲뿌링클 한마리 등의 메뉴가 고객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뿌링클 10주년을 기념해 자사 앱에서 진행된 ‘10년 전 가격 그대로’ 이벤트 또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는데, 이벤트 기간 동안 평소 대비 30% 이상 판매량이 증가하며 강력한 인기를 입증했다.

 

특히 2024년은 매운맛 메뉴들이 두각을 나타낸 해였다. 대표 매운맛 메뉴 ‘핫후라이드’는 하반기 급성장을 기록하며 지난해 메뉴 판매 5위에서 3위로 순위가 상승했다. 이외에도 ‘맛초킹’과 ‘핫골드킹’이 꾸준한 판매 상승세를 보이며, 매운맛 강세를 이어갔다.

 

매운맛 열풍은 사이드 메뉴에서도 두드러졌다. ‘분모자 로제 떡볶이’와 ‘떡볶이’ 등은 치킨과 조화로운 맛의 조합으로 높은 인기를 끌었으며, ‘빨간소떡’은 ‘뿌링소떡’보다 15만 개 이상 판매되는 등 인기 사이드 메뉴로 주목받았다.

 

이어 bhc는 2024년 한 해 동안 소비자들에게 가장 사랑받은 인기 메뉴 TOP 5를 특별 할인된 가격에 제공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이번 프로모션은 1월 31일까지 진행되며, bhc 앱을 통해 주문 시 ▲뿌링클 ▲맛초킹 ▲골드킹 ▲후라이드 ▲핫후라이드 등 총 5종의 메뉴를 4,000원 할인된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다.

 

할인 혜택은 각 메뉴의 한 마리, 콤보, 스틱, 윙, 순살 메뉴에 모두 적용된다. 배달 및 포장 주문 시 자동으로 할인되며, 한 번에 최대 9마리까지 주문 가능하다.

 

다만, E-교환권과 타 쿠폰 사용 시에는 중복 할인이 불가하며, 주문 가능 시간은 매일 오후 12시부터 밤 11시 30분까지이다. 일부 매장은 영업시간에 따라 주문 제한이 있을 수 있다.

 

bhc 관계자는 “이번 프로모션은 2024년 한 해 동안 bhc를 사랑해주신 고객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해 특별한 혜택을 준비했다”며, “오는 2월에는 고객들이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bhc 자사앱이 공개될 예정이니 많은 기대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