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bhc, 2024년 TOP 5 메뉴 공개 및 특별 할인 행사 초대

2024 메뉴 ‘매운맛’ 강세...▲뿌링클 ▲맛초킹 ▲골드킹 ▲후라이드 ▲핫후라이드 순
상기 TOP 5 메뉴 4,000원 할인 이벤트 전개...다음달엔 업그레이드된 앱도 공개

(조세금융신문=민경종 전문기자) 치킨업계 외형 1위 브랜드 bhc가 2024년 한 해 동안 소비자들에게 가장 사랑받은 메뉴 트렌드와 인기 메뉴 TOP 5를 공개하고, 특별 할인된 가격에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

 

지난 9일 bhc 전언에 따르면 지난해 판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메뉴 트렌드로는 ‘매운 맛’ 제품들이 강세를 보였으며 개별 메뉴로는 ‘뿌링클’이 전체 메뉴 중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후라이드치킨’, ▲‘핫후라이드치킨’, ▲‘맛초킹’, ▲‘양념치킨’이 인기 순위 상위권에 올랐다.

 

이외에도, 치킨 및 사이드 메뉴 전반에서 ‘매운맛’이 두각을 나타냈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bhc의 대표 메뉴 ‘뿌링클’은 출시 이후 10년 동안 변함없이 1위를 유지하며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뿌링클 콤보 ▲뿌링클 순살 ▲뿌링클 한마리 등의 메뉴가 고객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뿌링클 10주년을 기념해 자사 앱에서 진행된 ‘10년 전 가격 그대로’ 이벤트 또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는데, 이벤트 기간 동안 평소 대비 30% 이상 판매량이 증가하며 강력한 인기를 입증했다.

 

특히 2024년은 매운맛 메뉴들이 두각을 나타낸 해였다. 대표 매운맛 메뉴 ‘핫후라이드’는 하반기 급성장을 기록하며 지난해 메뉴 판매 5위에서 3위로 순위가 상승했다. 이외에도 ‘맛초킹’과 ‘핫골드킹’이 꾸준한 판매 상승세를 보이며, 매운맛 강세를 이어갔다.

 

매운맛 열풍은 사이드 메뉴에서도 두드러졌다. ‘분모자 로제 떡볶이’와 ‘떡볶이’ 등은 치킨과 조화로운 맛의 조합으로 높은 인기를 끌었으며, ‘빨간소떡’은 ‘뿌링소떡’보다 15만 개 이상 판매되는 등 인기 사이드 메뉴로 주목받았다.

 

이어 bhc는 2024년 한 해 동안 소비자들에게 가장 사랑받은 인기 메뉴 TOP 5를 특별 할인된 가격에 제공하는 이벤트도 진행한다.

 

이번 프로모션은 1월 31일까지 진행되며, bhc 앱을 통해 주문 시 ▲뿌링클 ▲맛초킹 ▲골드킹 ▲후라이드 ▲핫후라이드 등 총 5종의 메뉴를 4,000원 할인된 가격으로 만나볼 수 있다.

 

할인 혜택은 각 메뉴의 한 마리, 콤보, 스틱, 윙, 순살 메뉴에 모두 적용된다. 배달 및 포장 주문 시 자동으로 할인되며, 한 번에 최대 9마리까지 주문 가능하다.

 

다만, E-교환권과 타 쿠폰 사용 시에는 중복 할인이 불가하며, 주문 가능 시간은 매일 오후 12시부터 밤 11시 30분까지이다. 일부 매장은 영업시간에 따라 주문 제한이 있을 수 있다.

 

bhc 관계자는 “이번 프로모션은 2024년 한 해 동안 bhc를 사랑해주신 고객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해 특별한 혜택을 준비했다”며, “오는 2월에는 고객들이 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새로운 bhc 자사앱이 공개될 예정이니 많은 기대와 관심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