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0년 1월 20일 설 연휴를 앞두고 서울 한국은행 강남본부에서 현금운송 관계자들이 설자금 방출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www.tfmedia.co.kr/data/photos/20230103/art_16739178919232_83fa0d.jpg)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예금금리 상승과 코로나19 일상회복에 따른 위험회피심리(선택할 수 있는 투자안이 여럿 있을 때 그 중 덜 위험한 투자안 선택) 완화 등으로 화폐발행잔액 증가율이 18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화폐발행잔액이 174조8622억원으로 1년 전(167조5718억원)과 비교해 4.4%(7조2903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증가율 기준 2004년 이후 18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화폐발행잔액은 한국은행이 발행해 시중에 공급한 화폐 중 환수한 금액을 뺀 잔액을 말한다. 즉 한은으로 돌아오지 않고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현금 규모를 의미하는데, 통상 경제가 성장하면 한은이 발행한 화폐보다 환수금액이 적어 화폐발행잔액은 증가 추세를 보인다.
화폐발행잔액은 2016년 말 97조3822억원에서 2017년 말 107조9076억원으로 100조원을 넘어선 뒤 2018년 말 115조3894억원, 2019년 말 125조6988억원 등으로 증가했다. 이후 코로나19 피해회복 지원 등에 따라 유동성이 확대되고 현금 보유 유인이 늘어나면서 2020년 말 147조5568억원, 2021년 말 167조5718억원 등으로 크게 늘었다.
전년 대비 화폐발행증가율은 2000년대 이후 꾸준히 한 자릿수를 유지했다.
하지만 금융위기 다음해인 2009년부터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2017년까지 두 자릿수 증가율을 나타냈고, 2018년(6.9%), 2019년(8.9%)로 주춤하더니 코로나19 기간인 2020년(17.4%)과 2021년(13.6%)에 다시 증가했다.
즉 지난해 화폐발행잔액 증가율인 4.4%는 2008년(4.9%)보다 낮은 수준으로 2004년(1.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19 기간 위험회피심리 등으로 현금을 보유하려던 유인이 높았고 이로 인해 (발행한 화폐보다 환수한 금액이 적어지면서) 화폐발행잔액 증가 속도가 빨랐다. 지난해의 경우 일상회복 기조에 접어들면서 위험회피 심리가 완화됐고 이로 인해 증가 속도가 둔화됐다. 은행에 예금을 하면 한은으로 환수되면서 화폐발액잔액 증가 둔화요인이 둔화요인이 된다. 지난해 예금 금리가 상승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