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맑음강릉 20.3℃
기상청 제공

금융

“일단 빚부터 갚자?”…기업예금, 2004년 이후 첫 ‘역성장’

기업 원화 예금 잔액, 지난해 말 전년比 0.91% 감소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지난해 기업이 예금주인 예금은행의 원화예금 잔액이 19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이자 부담이 커진 기업들이 부채 축소(디레버리징)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21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기업의 원화 예금 잔액은 전년 대비 5조8262억원(0.91%) 줄어든 637조501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기업예금 잔액이 줄어든 것은 2004년 이래 19년 만의 일이며, 한국은행이 관련 통계를 공개한 1975년 이후 두 번째다.

 

기업 예금 잔액 추이를 살펴보면, 1975년 1조171억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늘었고, 2004년 처음으로 감소했다. 그 다음 2022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지난해 두 번째로 감소세를 나타낸 셈이다.

 

기업예금이 감소세로 돌아선 이유는 2021년 말부터 금리상승이 본격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예금 종별로 살펴보면 저축성‧요구불예금 모두 2021년까지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와 한국은행이 본격적으로 금리를 올리기 시작한 2022년 요구불예금이 빠져나갔다.

 

이후 2022년 예금은행의 기업 요구불예금 잔액은 전년 말 대비 13조764억원(10.11%) 줄어든 116조2890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에는 저축성‧요구불예금 모두 줄었다.

 

저축성 예금은 정기예‧적금, 저축예금, 기업자유예끔 등 약정된 기간이 지나야 인출이 가능한 예금이고, 요구불예금은 보통‧당좌예금처럼 언제든 꺼내쓸 수 있는 예금이다.

 

이와 관련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기업들이 예금을 통해 디레버리징, 부채축소를 진행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며 “기업 대출이 꾸준히 늘었고 동시에 연체율도 상승곡선을 이어간 것을 감안할 때 이자 갚기가 부담인 상황에서 예금액을 늘리기 어렵다 판단했다고 본다”고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