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맑음강릉 20.3℃
기상청 제공

색조 화장품 기업 ‘클리오’ 최대실적 행진...비결과 전망은?

지난해 매출 전년比 17.1%↑ ‘역대 최대’...영업이익도 28.6%↑
H&B·면세·온라인 채널 전략 및 미주 시장 공략 주효..‘H&B’ 선전

(조세금융신문=민경종 전문기자) 색조화장품 분야 전문기업 ‘클리오’의 성장세가 거침이 없다. 2020년 이후 매해 외형과 손익 모두 창사 최대치를 갈아치우며 고공행진을 펼치고 있는 것. 

 

먼저 매출은 2020년 2182억 원, 2021년 2327억, 2022년 2725억, 2023년 3306억 원을 시현해 우상향 추세를 연출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62억, 139억, 179억, 338억 원을 시현하며 외형과 손익 공히 우상향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성장세는 올 1분기에도 이어지고 있어 과연 이 같은 성장세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이 국내 뷰티업계 대부격인 아모레퍼시픽그룹 자회사 이니스프리가 올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공히 전년 동기대비 줄어드는 부진을 보인 것과 대조적으로, 클리오는 외형과 영업이익이 각각 23.8%, 62.5%나 급증한 것과 비교하면 사뭇 대조적이다. 

 

아모레퍼시픽그룹과 증권사 보고서에 따르면 이니스프리의 올 1분기 매출은 약 605억 원으로 전년 동기 667억 원 대비 약 9.4% 역 성장했고, 영업이익 또한 20억 원에 그치며 전년 동기 57억 원 대비 63.9%나 급감해 뷰티명가의 일원으로서의 체면을 구겼다. 

 

그러면 클리오의 올 1분기 실적은 구체적으로 어떠했고, 양호한 실적을 시현한 비결과 향후 증권가의 실적 전망은 무엇일까? 

 

1Q 매출 929억, 영업익 85억 시현...전년 동기 대비 23.8%, 62.5%씩 급증   
   
클리오가 최근 공시한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연결재무제표 기준 1분기 매출은 약 929.7억 원으로 전년도 750.7억 대비 약 179억 원이 늘어 23.8% 증가했고, 영업이익도 85억 원을 시현 전년도 52억 대비 62.5%나 신장하는 양호한 성적표를 시장에 내밀었다. 

 

이에 대해 클리오 측은 국내 및 해외에서의 고른 성장세를 꼽았다. 먼저 올 1분기 국내 매출의 56% 비중을 차지하는 H&B 채널 매출은 내수 성장 및 인바운드 관광객 유입으로 인해 전년동기 대비 14%, 국내 디지털 채널 매출도 10%씩 늘어났다고 밝혔다. 

 

각 디지털 채널별로 세분화된 소비자 타깃을 공략한 전용 제품과 마케팅이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었는데, 

 

국내 홈쇼핑 채널은 클리오 마그넷 팩트의 방송 호조가 이어지며 전년동기 대비 115%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고,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전개하는 자회사 클리오라이프케어 매출도 이너뷰티 제품을 중심으로 전년동기 대비 55%의 성장률을 달성했다고 덧붙였다.

 

또한 글로벌 시장에서도 건실한 경영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북미 매출은 구달 청귤비타C잡티라인 세럼의 인기가 크림까지 확대되면서 전년동기 대비 48%의 성장률을 기록했고, 

 

일본 매출은 현지화 전략을 통해 오프라인 채널 성장이 두드러지며 전년동기 대비 15% 늘었고, 중국 또한 클리오 아이팔레트가 카테고리 킬러 제품으로 자리잡으며 50%의 성장률을 달성했다. 동남아는 베트남, 싱가포르 등 주요국 중심으로 129%라는 고성장을 기록했다.

 

하나증권 박은정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글로벌 확장을 위한 마케팅 투자가 확대되다 보니 수익성에 대한 의구심이 존재했음에도 분기 최대 매출과 믹스 개선으로 예측 대비 수익성이 상승, 컨센서스에 부합했고, 일본/미국/중국/동남아가 유의미한 규모에 도달, 그로스 모멘텀을 확보한 점이 당기 실적에 유의미했다"고 평가했다.

 

올해 회사 측 경영전략과 증권가의 전망은? 

 

클리오 윤성훈 부사장은 “올해 클리오는 매 분기 성장 그래프를 그리며 전진함과 동시에 글로벌 커버리지를 확장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글로벌 소비자 수요에 적중하는 차별화된 제품과 마케팅을 통해 성장세를 이어가 주주 여러분의 신뢰에 보답하고, 명실상부 K뷰티를 대표하는 브랜드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하나증권 박 연구원은 “2024년 내수 리더십 주도 + 글로벌 점유율 확대 + 브랜드 다각화를 통해 ‘연결 매출 4천억원’ 돌파가 예상된다”며 “H&B/온라인/홈쇼핑이 견인하는 국내보다는 글로벌이 중심이 되어, ‘일본/미국/중국/동남아’가 그로스 모멘텀을 이끌 것”으로 내다봤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