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8.2℃
  • 맑음강릉 23.8℃
  • 맑음서울 18.1℃
  • 구름조금대전 18.2℃
  • 구름많음대구 26.7℃
  • 구름많음울산 19.9℃
  • 구름많음광주 19.3℃
  • 구름조금부산 17.2℃
  • 구름많음고창 15.8℃
  • 구름많음제주 18.6℃
  • 맑음강화 16.4℃
  • 구름많음보은 18.9℃
  • 구름많음금산 18.5℃
  • 구름많음강진군 19.4℃
  • 구름많음경주시 26.4℃
  • 구름많음거제 17.6℃
기상청 제공

삼성전자, 올 2분기 '어닝서프라이즈'…영업이익 전년비 1462%↑

올해 2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 각각 74조700억원, 10조4400억원 집계

 

(조세금융신문=김필주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잠정) 10조원대를 기록하면서 ‘어닝 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특히 반도체 사업부문은 영업이익 6조원 이상을 거두면서 실적 상승세를 견인했다.

 

31일 삼성전자가 공시한 연결기준 올해 2분기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회사의 올 2분기 매출 및 영업이익은 각각 74조700억원, 10조4400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3.44%, 영업이익은 1462.29% 각각 증가한 수치다. 올해 1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2.99%, 영업이익은 58.10% 각각 늘었다.

 

각 사업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DS(반도체, Device Solutions) 부문의 경우 매출 28조5600억원, 영업이익, 6조4500억원을 기록하면서 올해 2분기 실적 호조에 크게 기여했다.

 

삼성전자측은 “메모리는 생성형 AI 서버용 제품의 수요 강세로 시장 회복세가 지속됨과 동시에 기업용 자체 서버 시장의 수요까지 증가하면서 지난 분기에 이어 DDR5(Double Data Rate 5)와 고용량 SSD(Solid State Drive) 제품의 수요가 지속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DDR5, 서버SSD, HBM(High Bandwidth Memory) 등 서버 응용 중심의 제품 판매 확대와 생성형 AI 서버용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에 적극 대응한 결과 실적이 전분기 대비 대폭 호전됐다”고 덧붙였다.

 

DX(모바일·생활가전 등, Device eXperience) 부문은 매출 42조700억원, 영업이익 2조7200억원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측은 “올 2분기 스마트폰 시장 비수기가 지속되면서 매출이 신모델이 출시된 1분기에 비해 감소했다”며 “다만 판매호조가 지속되고 있는 갤럭시 S24 시리즈는 올해 2분기 및 상반기 출하량·매출 모두 전년과 비교해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했다”고 전했다.

 

이밖에 전장사업을 영위하는 하만은 포터블과 TWS(True Wireless Stereo) 중심의 소비자 오디오 제품 판매 확대로 올 2분기 매출 3조6200억원, 영업이익 3200억원을 거뒀다.

 

SDC(디스플레이) 부문의 경우 판매량 증가와 게이밍 모니터 및 프리미엄 TV시장 확대로 올 2분기 매출 7조6500억원, 영업이익 1조10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 전망도 내놓았다. 우선 DS 부문은 올해 하반기 선단 공정 사업 확대와 GAA 3나노 2세대 공정 본격 양산을 통해 올해 시장 성장률을 상회하는 매출을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 또 올 하반기에도 AI와 고성능 컴퓨팅 분야 수주를 지속 확대하기로 했다.

 

DX부문은 프리미엄 제품 수요 성장, 글로벌 판매 확대 추진, AI 연계 등을 통해 매출 성장 및 사업구조 개선에 나갈 예정이다. 

 

하만은 전장 부문 신규 분야 수주 확대로 사업역량을 강화하고 SDC의 경우 고수익 제품 중심 운영과 생산성 향상해 올 하반기 손익 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이경근 칼럼] 미국 보호무역주의 파고, 현명한 통상 전략 구사 위기를 기회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이경근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2025년, 세계 경제는 다시 한번 보호무역주의라는 거센 파고를 마주한다. 특히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우선주의' 기조를 강화하며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명분으로 관세 장벽을 높이 쌓으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면서, 한국 경제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등 자국법을 근거로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최근 미국은 당초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25%의 상호 관세율을 제안했으나, 우선 10%의 기본 관세를 유지하되 상호관세 부과는 90일간 유예(2025년 4월 10일 결정)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이 90일이라는 유예 기간 동안 미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 영국, 호주, 인도 등 우선협상 대상국들과 개별적으로 관세를 포함한 포괄적인 협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미국 재무장관은 각국의 방위비 분담금 수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맞춤형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미 중국 제품에 대해서는 145%라는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125%의 보복관세로 맞서는 등 미-중 무역 갈등은 격화되는 양상이다
[탐방] 2025년 달라지는 서울세관 조사2국, ‘외환검사 제도 정상화’ 방향을 듣다
(조세금융신문=안종명 기자) 서울본부세관 조사2국은 최근 3년간 가상자산을 이용한 불법 외환거래만 5조 4000억원 상당을 적발해 검찰에 송치했다. 조사2국은 이처럼 2023년 자체적으로 구축한 ‘불법 외환유출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해 가상자산을 이용한 불법 외환 송금 및 환치기, 보이스피싱 등 첨단 무역금융범죄를 집중 단속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조사2국은 국정원, 국세청, 금융감독원, 금융정보분석원(FIU)과 이상 외환거래 정보 공유, 합동단속 등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서울세관 조사2국은 불법 외환거래에 대한 단속을 한층 강화하는 한편, 관세청의 ‘외환검사 제도 활성화’ 방침에 따라 기업들이 외국환 거래의 적정성 등을 스스로 점검하고 준수할 수 있도록 사전 예방 조치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외환검사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외환검사와 외환조사 조직을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불법 외환범죄 단속과 기업의 자율적 법규 준수도 제고를 지원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지난 3월 서울세관 조사2국 조한진 국장을 만나 올해 외환검사 운영 방향과 최근 늘어나고 있는 가상자산을 통한 자금세탁 등 불법 외환거래 대응 방안을 들어봤다. 서울세관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