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31.2℃
기상청 제공

한손엔 공헌 딴손엔 새 시그니처 커피...이디야 성장향 '잰걸음'

강남 일원에코센터에서 열린 '2024 청각장애인 바리스타 전국대회' 후원
WCIGS 2024 월드챔피언이 직접 개발한 시그니처 커피 2종도 선보여

(조세금융신문=민경종 전문기자) 토종 커피브랜드 이디야커피가 한손엔 사회공헌을 전개하는가 하면 또 한손엔 시그니처 커피 신제품을 선보이며 지속 성장을 향한 발걸음으로 분주하다.

 

이는 국내 커피전문점시장 리딩 브랜드로서 영리 추구 활동과 함께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도 적극 나서려는 모양새여서 그 위상에 걸맞은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최근 주요 행적을 살펴보면 먼저 이디야커피는 지난달 26일 강남구 일원에코센터에서 열린 ‘2024 청각장애인 바리스타 전국대회’를 후원했다. 

 

이는 청각장애인 바리스타들의 꿈을 응원하고 자립을 돕기 위한 이디야커피의 지속적인 사회적 책임 활동의 일환이다. 

 

올해로 6회를 맞이한 본 대회에서는 예선을 통과한 12명의 본선 진출자가 커피 제조 실력을 겨루며 경합을 벌였는데, 이디야커피는 대회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후원금과 집기 등의 물품을 지원했으며, 수상자를 위한 상금도 함께 후원했다. 

 

이외에도 이디야커피는 2015년 청음복지관과의 상생 협력 MOU를 통해 청각장애인 바리스타 양성을 위한 후원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지난해 11월에는 커피에 대한 입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자사 로스팅 시설인 드림팩토리 견학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청각장애인 바리스타들의 커피 이해도와 전문성을 높이기도 했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의 매장 이용 편의를 위해 전국 매장에 점자 메뉴판을 비치하고 있으며, 평택 장애인 편의시설 기술지원 센터, 광주 미혼모자시설 엔젤하우스에 정기적인 후원을 진행하며 함께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29일에는 자체 개발한 ‘시그니처 밀크’를 활용한 시그니처 커피 2종도 선보였다. 이 음료는 이디야커피가 추구하는 커피에 대한 전문성을 강조하기 위해 출시됐다. ‘시그니처 밀크’는 우유와 생크림을 첨가하여 묵직한 바디감과 고소한 맛을 완성해 주는 밀크베이스다. 

 

▲시그니처 라떼 ▲민트 모히또 라떼 2종으로 출시됐으며 이중 ‘시그니처 라떼’는 생크림이 함유되어 부드럽고 풍부한 ‘시그니처 밀크’와 진하고 고소한 에스프레소가 조화를 이룬다. 

 

또 ‘민트 모히또 라떼’는 에스프레소와 은은한 민트향이 어우러진 이국적 풍미와 시그니처 밀크가 만들어내는 크리미한 바디감을 강조했다. 

 

특히, 2024 WCIGS(World Coffee In Good Spirits Championship)’ 챔피언 위승찬 바리스타가 직접 메뉴 출시를 제안해 눈길을 끈다. 커피 전문성을 가진 세계 대회 챔피언을 필두로 한 마케팅활동도 추후 전개할 예정이다. 

 

이번 신메뉴는 전국 이디야커피 매장은 물론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다양한 배달 서비스를 통해서도 만나볼 수 있다. 

 

이디야커피 관계자는 “온/오프라인에서 바이럴 되는 품목으로, 시그니처 커피가 고객들에게 다채로운 맛과 향을 통해 특별한 경험을 선사해 줄 것”이라며 “앞으로도 뭘 먹어도 맛있는 이디야커피 음료를 늘 연구하고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