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강릉 33.9℃
기상청 제공

식품 · 유통 · 의료

평이한 할인율은 가라...굽네몰, 닭가슴살 제품 최대 69% 할인

봄맞이 식단관리 시작 고객들 위해 인기 닭가슴살 제품을 초특가로 제공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봄철, 굽네몰의 제품으로 식단 목표 이루시길 바란다”

(조세금융신문=민경종 전문기자) 건강한 닭가슴살&간편식 전문몰을 지향하는 굽네몰(대표 정수철)이 봄맞이 ‘득근득근 닭가슴살 특가해봄’ 할인 기획전에 초대했다.

 

굽네몰이 봄철 다이어트를 시작한 고객들을 위해 오는 14일까지 자사 온라인몰 단독으로 최대 69%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고 밝힌 것인데,

 

▲닭가슴살 큐브 ▲오븐구이 통 닭가슴살(이하 오통닭) ▲소스듬뿍통살 ▲수비드 닭가슴살 ▲훈제 닭가슴살 등 굽네몰의 인기 닭가슴살 제품들을 48%~69% 저렴하게 판매하는 내용이다.

 

이중 ‘닭가슴살 큐브 오리지널’은 국내산 닭가슴살을 오븐에 구워 특유의 탱글탱글한 식감을 살렸으며, 깔끔하고 담백한 맛이 특징. 한입 크기로 간편하게 먹을 수 있으며 지난해 11월 출시된 ‘두부가득 계란볶음밥’과 함께 곁들이기에도 좋다.

 

해당 제품은 이번 프로모션에서 가장 높은 69% 할인율이 적용돼 한 팩당 980원 초특가로 구매할 수 있다.

 

또 ‘오통닭’은 굽네 오븐구이 기술로 굽고 특제 시즈닝을 더한 치킨 맛 닭가슴살이다. 저온 숙성한 국내산 닭가슴살을 오븐에서 구워내 풍부한 육즙과 부드러운 식감을 자랑하며, 굽네 오리지널 치킨 맛을 그대로 살린 오리지널 맛, 볼케이노의 매콤함을 더한 매콤바베큐 맛, 갈비천왕에 알싸한 마늘의 풍미가 느껴지는 양념갈비 맛 3종으로 구성됐다.

 

굽네몰의 인기 제품인 ‘소스듬뿍통살’은 스팀 오븐 공법으로 육즙 가득한 통 닭가슴살에 한국인 입맛을 사로잡는 K-소스를 듬뿍 더했다. 소스 포함 1팩당 100kcal(누룽지삼계탕 기준)이며, 팩당 단백질이 최대 21g 함유된 고단백 제품으로, 밥반찬으로 곁들이기에도 좋다.

 

‘수비드 닭가슴살’은 신선한 닭가슴살을 저온 숙성 후 수비드 공법으로 가열해 부드럽고 촉촉한 식감을 살렸다. 한 팩당 단백질 최대 25g의 고단백 제품으로 신선한 샐러드 위에 토핑으로 올리거나 통째로 구워 스테이크로도 즐길 수 있다.

 

‘훈제 닭가슴살’은 신선한 국내산 닭가슴살을 8시간 저온 숙성한 후 국내산 참나무로 훈연해 은은한 풍미를 자랑한다. 담백한 오리지널 맛, 깔끔하게 매콤한 스파이시 맛, 소금과 첨가물을 넣지 않은 훈제 제로까지 총 3가지 맛으로 만나볼 수 있다. 특히 훈제 제로 맛은 저나트륨 닭가슴살로 철저한 식단 관리에 돌입한 이들에게 제격이라고 업체 측은 전했다.

 

지앤건강생활 정수철 대표는 "이번 행사는 따스해진 봄을 맞아 야외 운동을 비롯해 건강한 식단 관리에 돌입한 고객분들을 위해 준비했다"며 “굽네몰의 인기 닭가슴살 제품과 함께 건강한 식단 목표를 이루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득근득근 닭가슴살 특가해봄’ 프로모션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공식 굽네몰 사이트와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