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강릉 33.9℃
기상청 제공

기업회계 담당자 약 60%가 ESG 공시 필요…정작 준비완료는 13%

주요국 ESG 공시 규제, 글로벌 공급망 영향 커

 

(조세금융신문=고승주 기자) 국내외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공시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국내 기업 회계 담당자 중 d약 60%가 ESG 공시 의무 도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제 자신이 속한 기업이 관련 준비를 했다는 응답은 13%에 그쳤다.

 

EY한영(대표 박용근)이 국내 기업 회계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 EY한영 회계투명성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중 59%가 국내 ESG 공시 의무 일정이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진행되어야 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 대상자는 국내 기업 회계 담당자(사외이사, 감사위원, 회계 및 재무 관련 부서 임원과 부서장) 164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 27%는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ESG 공시 의무 일정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답했으며, 32%는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일정을 진행하되 공시 의무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국내 기업 현실을 감안해 ESG 공시 의무 일정을 연기해야 한다는 응답은 34%로 나타났다.

 

유럽연합(EU)은 2025년부터 기업 규모에 따라 ESG 공시 의무를 적용하고, 미국 역시 2024년부터 기후 관련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는 준비기간이 필요하다는 이유로 ESG 공시 의무 도입 시기를 2026년 이후로 연기하겠다고 발표했을 뿐 구체적 도입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공표된 바 없다.

 

하지만 주요국 ESG 공시 동향을 고려할 때 시간이 무한정으로 주어진 것은 아니다.

 

‘기업의 ESG 공시 준비 상황을 고려했을 때 현실적으로 ESG 공시 의무가 가능한 시기’를 묻는 질문에 39%의 응답자는 ‘3년 이상 걸릴 것’, 31%는 ‘2년 후 가능’, 17%는 ‘1년 후 가능’이라고 답했다. ‘즉시 ESG 공시 의무를 실행 가능하다’고 한 응답은 단 13%에 불과했다.

 

이동근 EY한영 품질위험관리부문 대표는 “해외 주요국의 ESG 공시 규제는 해당 국가에서 사업을 하는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종속기업 및 글로벌 공급망에 속한 기업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다”라며 “전 세계적으로 ESG 공시 규제가 강화되는 추세에 맞춰 국내 기업들은 선제적으로 ESG 공시 강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