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구름많음동두천 31.2℃
기상청 제공

'세금은 이런 것이구나'...법무법인 화우 조세그룹 '신간 2권' 출간

일반독자에게 쉽게 알려주는 '조세소송, 조세자문' 노하우 소개

 

화우가 세금이야기, 조세예규 심결례 해설서 등 2권을 출간했다. [사진=법무법인 화우] 
▲ 화우가 세금이야기, 조세예규 심결례 해설서 등 2권을 출간했다. [사진=법무법인 화우] 

 

(조세금융신문=김영기 기자) “이 책에 실린 글을 읽게 되는 독자들이 ‘아하 세금은 이런 것이구나’라는 느낌을 가지고, 다음페이지, 다음 글을 계속 읽어 나갈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 봅니다.”

 

오랜 기간 동안 조세 분야의 자문과 소송을 맡아오던 법무법인 화우 조세그룹 전문가들이 세법에 관한 지식을 쉽게 알려주는 신간 2권을 출간했다.

 

세금과 관련해 가장 많이 언급되는 말로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피할 수 없는 2가지가 죽음과 세금”이라고 한 벤자민 프랭클린의 말이 있다.

 

이처럼 세금은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러나 가능하면 피하고 싶기도 한 것이 세금이라 일반인들이 그 내용에 친숙할 기회는 많지 않다.

 

저자는 “세금이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야 세금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줄이면서 안정적인 경제활동을 할 수 있기때문에 누구나 조금이라도 쉽게 세금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징검다리를 놓고자 이 책들을 출간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 책은 ‘로펌변호사가 들려주는 세금이야기 2(펴낸 곳 박영사)’이다. 이 책에는 법무법인(유) 화우(대표변호사 정진수) 조세그룹 소속 조세전문가들이 일간 경제지 머니투데이에 칼럼 형식으로 기고한 글 67편이 수록돼 있다.

 

‘로펌변호사가 들려주는 세금이야기 2’는 2019년 8월 출간된 1편의 후속작이다. 세금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독자들이 출퇴근 길 지하철 안에서, 자기 전 침대 머리맡에서도 부담 없이 읽고 세법에 관한 지식 한 조각을 얻을 수 있는 책이다.

 

두 번째 책은 ‘조세 예규 및 심결례 해설 2(펴낸 곳 화우조세실무연구원)’이다. 이 책은 화우조세실무연구원이 조세에 관한 최근 예규와 심결례를 꼼꼼하게 분석한 내용을 모은 전문 서적이다. 2020년 6월부터 2021년 6월까지의 내용을 담은 1편에 이어 2021년 5월부터 2022년 5월까지의 조세에 관한 예규와 심결례 및 판결에 관한 해설을 담았다.

 

국내 조세법 분야 스테디셀러인 ‘조세법’의 저자로 화우 조세실무연구원 원장을 맡고 있는 임승순 고문변호사가 출간을 총괄했다. 공적인 조세 견해를 정확하면서 이해하기 쉽게 작성된 해설서로서 독자들을 사로잡는다.

 

화우 조세그룹장인 정재웅 변호사는 “이 책에 실린 글을 읽게 되는 독자들이 ‘아하 세금은 이런 것이구나’하는 느낌을 가지고, 다음페이지, 다음 글을 계속 읽어 나갈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 본다”면서 “집필자들은 일반인들이 조금이라도 쉽게 세금 문제를 접근할 수 있도록 글을 써보겠다는 생각으로 내딛은 발걸음을 여기서 멈추지 않고 앞으로도 계속 노력할 것을 약속 드린다”고 말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