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식품 · 유통 · 의료

커피전문점, 춘심 저격 ‘슈크림’ 메뉴 출시 열풍

봄을 연상케 하는 달콤한 ‘슈크림’ 활용 메뉴 앞세워 소비자 유혹
딸기, 초콜릿, 커피 등 다양한 재료와 결합한 슈크림 음료 주목

(조세금융신문=민경종 전문기자)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커피점문점 업계가 피크닉을 즐기며 부담 없이 먹을 수 있는 달콤한 음료와 디저트 출시에 열을 올리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슈크림은 달콤한 맛과 부드러운 질감이 봄철 따뜻하고 발랄한 분위기와 잘 어울려 카페 업계의 봄 시즌 단골 아이템으로 자리잡았는데, 

 

특히 올해는 슈크림을 음료와 디저트의 주재료로 사용하는 것은 물론 딸기, 초콜릿, 커피 등 다양한 재료와 혼합하며 브랜드마다 각자의 스타일로 재해석한 슈크림 메뉴들을 줄줄이 출시해 소비자들 시선을 모으고 있다. 

 

스타벅스는 2017년 첫 출시 이후 역대 시즌 음료 중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한 ‘슈크림라떼’를 재출시했다. 이 음료는 출시 후 지난해까지 6년간 누적 판매량 1,700만 잔을 기록할 만큼 많은 사랑을 받으며 ‘슈크림 음료’의 대명사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SPC 파스쿠찌는 슈크림을 젤라또, 쉐이크와 조합해 ▲슈크림 젤라또 ▲슈크림 젤라또 콜드브루 라떼 ▲슈크림 콜드브루 쉐이크를 출시했다. 봄빛을 연상시키는 화사한 노란 색감과 음료 위에 얹어진 꽃잎 모양의 초코픽이 봄의 싱그러운 분위기를 물씬 풍긴다. 

 

SPC 던킨은 지난달 달콤한 슈크림과 꿀을 활용해 봄을 상징하는 노란 색감을 살린 ‘허니 슈크림 필드’를 선보였다. 도넛 속에는 부드러운 슈크림을 가득 채웠으며, 100% 국내산 아카시아꿀로 만든 허니 코팅을 입혀 달콤한 맛을 배가했다. 

 

카페 프랜차이즈 만월경은 슈크림을 딸기, 초콜릿 등과 다양한 재료와 조합해 다채로운 풍미를 선사하는 슈크림 음료 4종을 선보였다. 

 

▲슈딸기라떼 ▲슈초코라떼 ▲달콤슈라떼 ▲슈카페라떼로 구성됐으며 마다가스카르산 바닐라빈이 콕콕 박혀 있어 클래식하면서도 고급스러운 풍미를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슈딸기라떼’는 음료를 잘 섞으면 분홍빛의 딸기 베이스와 노란빛의 슈크림 베이스가 어우러져 발랄하면서도 사랑스러운 봄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비주얼과 맛이 완성돼 MZ세대 소비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는 것이 업체 측 전언이다. 

 

메가MGC커피는 인기 메뉴인 ‘아이스 와앙 슈’의 스핀오프 브레드 메뉴로 ‘와앙 바닐라 슈크림빵’을 선보였다. 한 개를 다 먹어도 부담스럽지 않을 만큼 은은한 단 맛이 특징으로, 프랑스산 바닐라빈을 함유해 향긋하고 진한 슈크림을 맛볼 수 있다. 

 

컴포즈커피에서도 싱그러운 봄 날씨에 달콤하게 즐기기 좋은 ▲하겐홀릭라떼 ▲슈~라떼 ▲유자베리에이드 등 3가지 메뉴를 내놨다.  

 

이중 슈~라떼는 커스터드 베이스의 라떼에 진한 슈크림이 만나 환상적인 부드러움과 달콤함을 자랑하는데, 여기에 커피 특유의 쓴맛을 초콜릿티하게 표현한 컴포즈커피만의 블렌딩 원두 ‘비터홀릭’의 조화로 최상의 맛의 밸런스를 선사할 것이라고 업체 관계자는 자신했다.

 

업계 관계자는 “상쾌하고 활기찬 봄의 분위기를 즐기며 새로운 맛 경험을 찾는 소비자들을 위해 업계에서는 계절과 잘 어울리는 아이템을 활용한 메뉴로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고 최근 추세를 전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