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9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HEALTH & BEAUTY

[전문가칼럼] 입냄새 유발 축농증과 비염 그리고 한의학의 비연증

[이미지=셔터스톡]
▲ [이미지=셔터스톡]

 

(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몽골리안인 한국인의 코는 서양인에 비해 낮은 편이다. 높고 큰 코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코는 비염이나 축농증에 약할 개연성이 있다. 비염은 코 점막에 생긴 염증이다. 또 비염이 만성화되면 대개 축농증으로 이행되기 쉽다.

 

축농증은 얼굴의 빈 공간인 부비동에 농이 쌓인 상태다. 코 내부의 통로인 비강은 숨이 오가는 길이다. 부비동이나 코 점막 염증 반응으로 농이 있으면 냄새가 나게 된다. 만성비염이나 축농증이 발생하면 구취가 나는 원리다.

 

동의보감에서는 비염을 비연증(鼻淵症)으로 설명한다. 동의보감 외형편의 비연증은 마치 콧속 연못에서 샘솟듯이 콧물이 흐르는 상태다. 비연은 폐에 습한 기운이 들어 열이 발생해 생기는 병이다. 구체적으로 찬바람(風寒), 폐의 찬 기운(肺寒)과 폐의 열감(肺火), 코의 열(鼻熱), 후덥지근한 습열(濕熱), 급성비염, 이물자극 등이 원인이다.

 

비연증은 찬 기운이 강한 겨울에 많이 생긴다. 한방에서 코와 폐는 같은 성질로 본다. 폐가 차거나 뜨거우면 코 질환이 발생한다. 비염이나 축농증에서 폐 기능 회복에 신경 쓰는 이유다. 입냄새를 일으키는 축농증의 의학명은 부비동염이다.

 

부비동에서 분비되는 하루에 1.5L의 점액은 비강과 부비동에 침투하는 이물질을 몸 밖으로 내보낸다. 만약 부비동이 막히고, 섬모의 운동이나 점액의 성상 이상으로 기능이 떨어지면 염증이 발생한다. 부비동은 호흡을 통해 대뇌의 열을 식혀주는 열 교환 역할도 한다. 이곳에 고름이 차면 코로 숨을 쉬기가 어렵다. 이로 인해 코 막힘, 콧물, 후비루 등도 나타난다.

 

상기도 염증은 쉽게 부비동으로 옮겨간다. 부비동 염증으로 부은 점막은 코와의 연결통로를 막는다. 여기에 세균이 증식해 부비동염을 일으킨다. 부비동이 작은 어린이는 아데노이드가 비대해지면 콧구멍을 막는다. 어린이에게 축농증이 많은 이유다.

 

부비동염인 축농증이 심하면 입과 코에서 악취가 난다. 후각 기능도 떨어지고 두통에 시달린다. 산소 공급력이 떨어져 피로하고, 두뇌력도 감퇴한다. 부비동 고름은 오랜 기간 고여 있는 탓에 악취가 심한 편이다.

 

부비동 염증을 제거와 고름이 축적을 막는 치료법은 약물투약과 수술요법이 있다. 약물로는 항생제, 점막수축제, 항히스타민제, 소염진통제, 국소스테로이드가 사용된다. 약물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부비동 내시경 수술을 한다. 그러나 수술은 코 점막을 튼튼하게 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코 점막이 일부 제거되면 건조감, 비점막어혈 등의 부작용 우려도 있다.

 

한의학에서는 재발없는 근본치료를 위해 코를 포함한 인체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한다. 호흡기 면역력 강화에도 중점을 두고, 직접적으로 비강의 염증 제거, 고름 배출, 점막 재생, 면역력 강화 처방을 한다. 또 자율신경 회복 처방으로 자연치유력을 높이는 방법을 쓴다.

 

 

[프로필] 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장 원장

• 전, 대전대학교 한의대 겸임교수

• 전, MBC 건강플러스 자문위원

• 대전대학교 한의대 석사·박사 학위

• 논문: 구취환자 469례에 대한 후향적 연구

• 저서: 입냄새, 한달이면 치료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이재명 vs 김문수, 조세정책의 길을 묻다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명예교수,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조세정책은 단순한 세금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철학과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세금은 사회계약의 이행 수단이며, 공공서비스의 재원일 뿐 아니라 미래세대와의 약속이라는 점에서 각 후보의 조세 비전은 중요한 정책 선택의 기준이 된다. 이재명 후보는 ‘조세 정의’와 ‘보편 복지’를, 김문수 후보는 ‘감세와 시장 자율’을 중심 기조로 내세운다. 이처럼 상반된 철학이 세금 정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유권자에게 실질적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재명 후보: 분배 정의와 조세 환류 이재명 후보는 국토보유세, 금융소득 통합과세, 디지털세, 탄소세 등 자산과 환경에 기반한 새로운 세목의 신설 또는 기존 세목의 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과세를 통해 형성된 세수를 ‘조세환급형 기본소득’ 형태로 전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환급함으로써, 소득 재분배와 소비 진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금융소득 통합과세는 기존의 분리과세 방식을 폐지하고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시켜 누진세를 적용함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