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07 (목)

  • 맑음동두천 -0.3℃
  • 구름많음강릉 5.7℃
  • 맑음서울 2.0℃
  • 맑음대전 3.8℃
  • 맑음대구 6.2℃
  • 맑음울산 7.3℃
  • 맑음광주 6.8℃
  • 맑음부산 7.4℃
  • 맑음고창 5.5℃
  • 맑음제주 10.2℃
  • 맑음강화 -1.7℃
  • 맑음보은 4.0℃
  • 맑음금산 3.8℃
  • 맑음강진군 7.6℃
  • 맑음경주시 5.9℃
  • 맑음거제 7.7℃
기상청 제공

HEALTH & BEAUTY

[전문가칼럼] 입냄새인가, 코냄새인가, 콧속의 희고 노란 알갱이와 편도결석

(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비염이 있다면 입냄새가 날까, 코냄새가 날까. 입과 코는 후방부에서 연결돼 있다. 좌우의 들숨이 만나는 비인강(鼻咽腔)이다. 이곳에서는 세균 등의 이물질이 부착돼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비인강을 통해 입안과 코안의 냄새는 서로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코의 질환으로 인한 염증이 있다면 콧속 냄새는 물론 입냄새를 풍길 가능성이 있다.

 

한의원을 찾은 사람 중에는 콧속 냄새를 호소하는 경우가 적잖다. 또 코를 강하게 풀거나 코를 들이마셔 뱉으면 희거나 노란 알갱이가 나옴을 말하기도 한다. 노란 알갱이는 냄새가 역겹다.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으면 한쪽 코나 양쪽 코가 막히기 쉽다. 막힌 코는 가끔 뻥 뚫린다. 이때 콧속의 냄새를 의식하게 된다. 코가 건조하면 더 쉽게 냄새를 맡게 된다.

 

콧냄새나 입냄새 상당수는 콧물과 연관 있다. 코에 비염 등의 염증이 있으면 콧물이 정상을 넘는 범위로 생성된다. 넘치는 콧물은 목 뒤로 넘어간다. 콧물은 각종 바이러스의 먹이가 된다. 콧물이나 음식물 찌꺼기 등이 편도나 편도선의 작은 구멍에 끼면 세균 증식작용이 일어난다. 이로 인해 작은 알갱이로 뭉쳐진 게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편도결석이다. 건조성 비염은 편도결석 동반확률이 높다.

 

그런데 비염이나 축농증이 있으면 목안 뿐만 아니라 콧속에서도 결석 같은 농축된 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 재채기나 양치질 때 편도결석이 튀어나오는 것과 비슷하게 코를 풀 때 희거나 노란 알갱이가 묻어나오는 경우가 있다. 비강에서 콧물과 먼지 등이 세균과 함께 뭉쳐진 물질이다. 또는 염증반응 탓에 코안 염증 부위에서 생성된 물질도 있다.

 

평소 코딱지가 자주 끼고, 염증성과 연관 있는 점액성 분비액이 많으면 비염이나 비중격만곡증, 부비동염과 같은 코의 질환이 가능성이 높다. 콧속 질환으로 인한 코냄새는 대개 비릿하면서 역겹다.

 

또 염증 자체의 냄새도 있다. 비염과 축농증의 염증이 계속되면 노란 알갱이가 만들어질 수 있다. 흰 물질은 알러지성 비염의 결과물이다. 비염이나 축녹증이 있으면 목이물감 빈도도 높아진다. 잠을 잘 때 막힌 코 탓에 입으로 숨을 쉬게 된다. 이 경우 코 한쪽이 붓고, 목이 불편하게 된다.

 

비염 등의 코질환으로 코에서 알갱이가 만들어지거나 콧냄새 입냄새가 나면 원인 파악을 먼저 해야 한다. 정확한 질환명과 원인을 밝히면 오래된 증상도 치료가 가능하다.

 

 

[프로필] 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장 원장

• 전, 대전대학교 한의대 겸임교수

• 전, MBC 건강플러스 자문위원

• 대전대학교 한의대 석사·박사 학위

• 논문: 구취환자 469례에 대한 후향적 연구

• 저서: 입냄새, 한달이면 치료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관련태그

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비염  한의원  냄새  축농증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김우일의 세상 돋보기] 단식(斷食), 배고픔의 고통을 이기는 힘과 경영지혜
(조세금융신문=김우일 대우M&A 대표) 모 정치인이 갑작스레 단식을 이어가 많은 사람의 주의를 끌었다. 역사상 단식은 많은 사례가 있어 왔다. 단식(斷食)은 실타래 같이 이어져 있는 생명의 유지를 위한 음식공급망을 의식적으로 빠르게 끊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서서히 섭취를 줄이는 절식(節食)과는 다르게 그 배고픔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가 없이 크고 생물의 본능을 공격하는 것이라 정신과 육체 모두를 원시상태로 되돌리는 극기의 인내를 감수해야만 가능하다. 필자에게도 단식경험이 있다. 60년대 우리나라는 전쟁후유증으로 인한 궁핍한 경제로 국민학생들이 제대로 먹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지금도 생각나는 그때, 워낙 가난한 사정 때문에 하루에 한 끼도 못 채우고 수돗물로 배 채울 정도로 배고픔을 참아가며 열심히 공부해 항상 우등생 반열에 올랐던 절친이 있었다. 필자는 그 친구의 상황을 공감하기 위해 똑같이 하루에 한 끼로 하며 빈 배를 수돗물로 채우는 과정을 동반 체험해봤다. 결국 3일을 넘기지 못했다. 그 배고픔의 고통이 이루 말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필자는 배고픔을 수돗물로 채우고도 끝끝내 강한 의지로 항상 공부를 잘했던 그 친구를 정말 존경했고 후일 그 친
[초대석] 강호동 합천 율곡농협조합장 “현실로 다가온 농촌소멸…농업소득 증대가 해답”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황금빛 쌀보리가 넘실대던 농촌의 가을걷이가 막바지다. 땀방울로 일군 값진 곡식들은 전국으로 유통돼 식탁을 풍성하게 채운다. 국민 밥상의 근간이 되는 농촌 그리고 농업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농촌 경로당은 80대가 막내고, 아이 울음소리가 뚝 끊긴 마을이 점차 늘고 있다. 고령화와 인구감소 문제가 해결되지 못한 채 농촌소멸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이제는 농촌과 농업이 식량안보의 핵심이라는 개념적 접근을 넘어 식품산업, 물류, 관광 등 부가가치 창출과 고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혁신 성장이 가능한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자원임을 인식해야 할 때다. 농촌을 지원해야 한다는 소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미래 사회의 중심에 농촌을 올려놓고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설계해야 한다. 농업생산력을 증진시키고 농민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도모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이 있다. 농협이다. 올해로 창립 62년을 맞은 농협은 앞으로의 60년 대계를 위해 분주하다. 농업이 대우받고 농업인이 존경받는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청사진을 그리는 중이다. 첫 단추는 무엇일까. 농촌의 어려움과 농민들의 애로사항을 근거리에서 청취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