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4 (화)

  • 흐림동두천 2.7℃
  • 구름조금강릉 5.7℃
  • 흐림서울 4.3℃
  • 구름많음대전 7.4℃
  • 구름많음대구 9.8℃
  • 맑음울산 10.3℃
  • 연무광주 8.3℃
  • 맑음부산 10.1℃
  • 구름조금고창 6.1℃
  • 맑음제주 12.9℃
  • 흐림강화 3.1℃
  • 구름많음보은 5.6℃
  • 구름많음금산 6.6℃
  • 맑음강진군 9.6℃
  • 맑음경주시 9.8℃
  • 맑음거제 9.4℃
기상청 제공

HEALTH & BEAUTY

[전문가칼럼] 중국에서 탐낸 동의보감과 입냄새 처방

(조세금융신문=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 원장) 옛 사람들은 동의보감에 얼마나 의지했을까.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동의보감은 허준이 1610년(광해군 2)에 저술한 의학 서적이다. 동방의학을 집대성한 동의보감은 조선 왕실 내의원(內醫院)에서는 물론이고 전국의 의원들이 참고한 절대적인 교과서였다. 청나라에서도 관심이 아주 높았다. 청나라는 공식적 루트와 비공식적 루트를 통해 조선에 동의보감을 줄기차게 요청했다.

 

조선 국왕은 청나라 사신에게 내려줄 예물 중 하나로 동의보감을 준비했다. 그 기간이 현종 2년(1642)부터 정조 10년(1786)까지 약 150년이다. 청나라 사신들은 공식 교역품 외에 사적으로도 서적 구입 청탁을 해왔다. 이에 양이 많은 경우는 호조에서 일괄 처리도 하였다. 그만큼 청나라 측에서는 동의보감의 의학적 가치를 높게 평가한 것이다.

 

그러나 조선은 청나라 사신의 부탁을 다는 들어주지 않았다. 숙종 때 호조판서인 민진원은 사신 나첨(羅詹)이 동의보감과 청심원 선물을 요청하자 거절했다. 청나라에 돌아간 나첨은 1721년 조선의 사신이 북경에 도착하자 해코지를 한다. 조선 사신 일행이 머문 사찰 우물의 물을 오염시킨 것이다. 이로 인해 조선 외교관들과 말들이 배앓이를 했다. 당시 부사로 북경에 간 이정신이 이 내용을 기록으로 남겼다.

 

청나라 사람들은 치료에 동의보감을 인용해 처방했다. 1765년 북경을 다녀온 홍대용은 청의 의원들이 동의보감을 매우 귀중히 여기도, 민간에서 출판되고 있음을 기록했다. 일부는 신비 처방으로도 활용됐다. 청의 시인인 원매가 1794년에 괴담을 모아 쓴 자불어(子不語)에 여우 퇴치법이 나온다.

 

항주(杭州) 소산(蕭山)에 사는 이선민(李選民)이 절에서 만난 여인과 혼인했다. 얼마 후 그녀가 여우(狐)의 변신임을 알았다. 그는 여우인 아내를 쫓아내려 했으나 방법을 찾지 못했다. 이때 친구인 양효렴(楊孝廉)이 동의보감에 소개된 여우 퇴치술(治狐術) 사용을 권유했다.

 

이선민과 양효렴은 북경의 책방인 유리창에서 동의보감을 구했다. 조선인에게 번역 의뢰한 후 내용대로 시행했다. 그 결과 여자가 울면서 떠나갔다.

 

원매는 양효렴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라는 설명을 했다. 이에 대해 청의 의원인 육이첨(陸以湉)은 동의보감의 잡병편》 사수(邪祟)와 벽사단(辟邪丹) 처방 가능성을 확인했다. 사수와 벽사단은 정신이상이나 히스테리 증상에 연관된다. 이처럼 당시 청나라에서는 당시 의학으로는 풀리지 않는 분야까지 동의보감의 도움을 받으려고 했음을 알 수 있다.

 

동양의학의 집대성인 동의보감에서는 입냄새를 구취자 위열야(口臭者 胃熱也)로 표현했다. 입냄새는 위의 열에서 비롯된다는 설명이다. 위의 열작용에 대해서는 구취일증(口臭一證) 내열기(乃熱氣) 온적흉격지간(蘊積胸膈之間) 협열이충(挾熱而衝) 발어구야(發於口也)라고 했다. 가슴에 쌓인 열기에 다시 열이 누적되면 위로 치솟아 입냄새가 난다는 의미다. 또 간단한 응급 처치 방법으로 족도리풀(세신) 즙을 입에 머금도록 안내했다.

 

 

[프로필] 김대복 혜은당클린한의원장 원장

• 전, 대전대학교 한의대 겸임교수

• 전, MBC 건강플러스 자문위원

• 대전대학교 한의대 석사·박사 학위

• 논문: 구취환자 469례에 대한 후향적 연구

• 저서: 입냄새, 한달이면 치료된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정치와 세금: 세법개정안의 쟁점과 정치적 함의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법대 교수) 2024년 세법 개정안은 경제 활성화와 조세 정의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려는 노력의 결과로, 이를 둘러싼 정치적 논쟁이 뜨거웠다. 지난 12월 10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4년 세법개정안은 총 13개였는데, 그 중 부가가치세법, 조세특례제한법은 정부안이 수정 가결되고, 상속세 및 증여세법은 정부안이 부결되었다. 상속세 과세 체계 개편 및 가업승계 활성화가 핵심이었던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정부개정안은 부결된 반면, 금융투자소득세 폐지와 가상자산 과세 2년 유예의 쟁점이 있었던 소득세법 개정안은 원안대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 또한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세제지원 확대, 주주환원 촉진세제 도입, 통합고용세액공제 지원방식 개편, 전자신고세액공제 축소 등의 쟁점을 가진 조세특례제한법은 삭제 혹은 현행 유지하는 것으로 국회 본회의에서 결론이 났다. 이번 논의의 중심에 섰던 세제 관련 사안들은 단순히 세제 개편 문제를 넘어 정치적 함의를 담고 있다. 왜 세법은 매번 정쟁의 중심에 서게 되는가? 이 질문은 정치와 세금의 복잡한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세법 개정 논의의 주요 쟁점 이번 정기국회에서 가장 논란이
[초대석] ‘세금과 삶’ 법률사무소 전정일 변호사…국세청 15년 경험 살려 납세자 권리 구제 큰 역할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지난 2022년 파주세무서장으로 활약하던 전정일 변호사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통일되면 개성세무서장을 맡고 싶다”라는 힘찬 포부를 밝혔다. 언제 통일이 이뤄질지 누구도 모르지만, 통일 대한민국 개성에서 국세 공무원의 소임을 다하고 싶다는 소망을 전한 것이었다. 그로부터 약 2년 후 전정일 전 파주세무서장은 서울지방국세청 국제조사관리과장을 끝으로 국세청을 나와 지난 22대 총선에서 파주시(을) 예비후보로 정치에 입문했고, 이후 준비기간을 거쳐 ‘세금과 삶’ 법률사무소를 열었다. 국세청에서 송무 업무는 물론 변호사 출신 최초로 대기업 등 세무조사 현장 팀장과 조사과장까지 역임한 그가 이제는 납세자를 위한 불복 소송 대리, 세무조사 대응, 신고 대리 등 정반대의 역할을 맡게 됐다. 국세청에서 전도유망했던 그가 꿈을 위해 도전장을 던진 파주는 물론 수도권과 전국의 납세자들을 위한 최상의 법률서비스를 제공한다는 포부를 갖고 문을 연 법률사무소 ‘세금과 삶’에서 전정일 변호사를 만났다. Q. 지난 연말 ‘세금과 삶’ 법률사무소를 열고 조세 전문 변호사로 새로운 출발을 하셨습니다. 소감을 먼저 전해주시죠. A. 지면으로 인사드리게 되어 기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