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구름많음서울 33.4℃
기상청 제공

국세청, 한국해양진흥공사에 조사1국 2개팀 동원…고강도 세무조사

2018~2019년 연속 적자
2020~2021년 흑자 전환했으나 2022년 손실
지난 4월 초부터 오는 9월 초까지 세무조사 예정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한국해양진흥공사가 최근 국세청으로부터 세무조사를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가운데 그 배경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해양진흥공사는 문재인 정부 출범 1년 만에 설립, 문 정부 설립 1호 공공기관으로 불린다.

 

설립 후 국세청 조사가 실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만, 세무조사에 투입된 인원의 규모나 실시 기간 등을 감안할 때 일반적인 정기 세무조사가 아닌 비정기 특별 세무조사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업계 시각이다.

 

7일 사정기관과 아주경제 등에 따르면 지난 4월 초부터 부산지방국세청 조사1국이 한국해양진흥공사(해진공) 대상 세무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당초 국세청의 해진공 대상 세무조사는 지난 2월께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일정이 미뤄졌고, 4월부터 시작된 세무조사는 오는 9월 초까지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국세청은 이번 세무조사에 부산지방국세청 조사1국 2개팀을 동원하는 등 조사국 인력을 대거 투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두고 업계는 이번 세무조사가 정기세무조사보단 비정기 특별세무조사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해진공은 문재인 정부 출범 1년 만인 2018년 7월 설립됐다. 해진공은 해운항만업 관련 자산에 대한 투자와 해운항만 사업자가 차입하는 자금에 대한 채무보증, 해운항만 사업자에 대한 보조금 지원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이는 문 전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던 ‘해운 및 조선 상생을 통한 해운강국 건설’ 목표와 결을 같이 한다.

 

해진공의 설립에는 기획재정부, 해양수산부, KDB산업은행 등 자금이 투입됐다.

 

해진공은 설립 첫 해인 2018년과 다음 해인 2019년 각각 1433억원, 1200억원 영업손실을 냈다.

 

하지만 이후 2020년과 2021년 각각 3조4119억원, 4조9582억원 영업이익을 내며 성장세로 전환했다.

 

그러다 2022년 다시 1조816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020년과 2021년에는 금융상품 평가 및 처분이익 급증으로 투자영업수익이 늘어나며 성장했으나, 2022년 금융상품 평가 및 처분이익이 전년 5조1319억원에서 14억원으로 급감했고 같은 기간 금융상품 평가 및 처분손실은 3670억원에서 1조9774억원으로 급증했다.

 

그 결과 배당 및 수수료수익 등의 증가분이 상쇄되며 실적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현재 해진공 측은 지난 4월부터 시작된 국세청 세무조사에 대해 국세기본법에 따른 세무조사며, 조사 목적과 의도는 정확히 알지 못한다는 입장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2

스팸방지
0/300자
  • 스트롸이더2
    • 2023-06-08 13:13:44

    본인들 주식놀이 사채놀이 성과급 잔치하느라, 전환사채 상환 안받고,
    주식전환해서 해쳐먹은 , 산은 이동걸이랑 해진공 김양수 이 두 놈은, 천하의 역적이다. HMM에 기생충 같이 붙어있는 해수부와 해양진흥공사가 사리사욕을 버리고 민간에 조속히 매각해야 한다. 급변하는 시장환경에서 공무원이나 공기업은 백해무익한 존재다. 민간에 경영을 넘기고 해운산업 금융시스템을 선진국 수준으로 구축하는 것이 그들이 당연히 해야할 직무다. 즉 해피아 무리들은 직권을 남용하고, 직무는 유기하고 있다. 이게 나라냐?

  • 스트롸이더2
    • 2023-06-08 13:13:10

    국적선사 살리라고 지원했고, 정상화 됐으면 영구채는 상환받으면 될 것이지
    주식전환해처먹어서 천문학적 이득남기고
    그 이득은 니들 뒷주머니 성과급으로 수셔넣냐
    관사는 부산 최고 비싼 노른자땅 마린시티에 건물에 자리잡고
    본사도 최고 비싼 전망좋은데 잡아놓고
    니들 호의호식 하라고 나랏돈 우겨넣냐?
    수출 99.7%를 해운에 의지하는 나라의 국적선사 살아났으면
    영구채의 목적에 맞게 상환받는 게 당연지사. 그동안 이자 받아처먹었으면 되었지
    그걸로 또 장난질이냐! 이런 나랏돈 긁어먹는 기생충 같은 썩은 집단 해진공 해체가 답이다.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상법 개정, ‘주주권 강화’ 명분에 가려진 기업 현실
(조세금융신문=양학섭 편집국장) 지난 7월 3일, 기업 경영의 틀을 바꾸는 1차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공포된 개정안에는 이사의 충실의무 명문화, 독립이사 제도 강화, 감사위원 선임 시 3%룰 확대, 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이번 상법 개정안은 단순한 법 조항의 손질을 넘어, 기업 지배구조의 권력 중심이 경영진에서 주주로 옮겨가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추가로 논의 중인 법안에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집중투표제 확대, 배임죄 적용 요건 정비 등 주주 권한을 강화하는 내용들이 다수 포함돼 있다. 재벌 중심의 폐쇄적 지배구조에 대한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온 가운데, 이번 개정은 우리 기업 환경이 '주주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늘 그렇듯, 제도의 의도가 현실에서 그대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이사의 충실의무를 명문화한 것은 자본시장에서의 책임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다. 그간 다수의 이사들이 ‘회사를 위한 결정’이라며 무책임하게 의사결정을 내리고, 손실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일관해 왔던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법의 칼날은 양날이다. 충실의무가 자칫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