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보험

롯데손보 통합브랜드 let: 런칭

고객의 삶을 이해하고 응원하는 보험의 본질을 반영

(조세금융신문=방영석 기자) 롯데손해보험은 통합브랜드 ‘let:’을 런칭했다고 19일 밝혔다.

 

대부분의 보험회사가 자동차 보험에만 브랜드를 도입하는 것과는 달리, 롯데손해보험의 ‘let:’은 일반/장기/자동차의 모든 보험서비스(상품), 채널, 업무 전반에 통합브랜드(Brand identity)로 사용 될 예정이다.

 

‘let:’은 영어단어 let과 콜론(:)의 간단한 조합이지만, 보험의 본질에 대한 깊은 고민을 담았다고 밝혔다.

 

우선, ‘let’은 보험회사가 고객에게 제공해주는 진정한 가치는 고객이 마음 놓고 무엇이든 “하게 해주는 것”이라는 데서 기반한 단어이다. 어린이가 마음껏 뛰어 놀 수 있게 하고, 소방관이 두려움 없이 화염 속으로 뛰어 들 수 있게 하고, 아빠가 즐겁게 여행길 운전대를 잡게 해주는 것 같이, 고객의 삶을 이해하고 응원하는 보험의 본질을 반영한 단어이다.

 

콜론(:)은 하게 하는 것의 대상을 한정하지 않겠다는 확장성의 의미이다. 콜론 뒤에 어떠한 대상을 붙이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것을 지칭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 보험서비스(상품)의 경우, “let: way자동차보험” 처럼 보험서비스(상품)뿐만 아니라 다이렉트 채널을 “let:click”으로 하는 것처럼 판매 채널의 명칭에도 사용된다.

 

디자인 차원에서 ‘let:’의 로고는 현대적인 명조체의 획 끝을 가볍게 올려 산뜻함과 생동감을 더했다. 숫자 1을 닮은 ‘소문자 l’과 and의 또 다른 표현 ‘et’의 조합이기도 한 let의 표기는 ‘작지만 강한 1st’의 의미와 ‘and’의 결합으로 다양한 해석을 통한 의미를 더했다.

 

색상에서 ‘let’은 ‘대화와 글을 상징하는 검은색’을 사용하였으며, 무한한 가능성을 실현하는 보험의 의미가 담긴 콜론(:)은 ‘따뜻하고 부드러운 레드’로 고객을 응원하고 이해하는 ‘let:’의 마음을 표현하였다. 또한 다채로운 서브컬러를 통해 ‘let:’을 완성하는 고객의 다양성을 포용하는 메시지를 담았다고 밝혔다.

 

롯데손보 관계자는 “이번 통합브랜드는 회사의 모든 표식, 제작물, 문서 등에 통일적으로 적용하여 고객에게 차별화된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며 “대주주 변경 이후 추진중인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고객경험선진화 방안’의 일환이다”라고 밝혔다.

 

롯데손보는 19일 통합브랜드 ‘let:’의 공식 출범과 함께, 회사의 내부문서 서식, 약관, 명함, 봉투 서식류 및 대표 홈페이지 등에 통합브랜드의 디자인과 컬러를 전면 적용하고, 옥외전광판, 현수막, 버스정류장 광고 등을 통해 대외에 알려나갈 계획이다. 특히, 23일부터 TV광고를 시작하고 향후 SNS를 통한 소통을 통해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이해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