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보험

DGB생명, 금융전문가 역량 강화하는 임직원 자기계발 프로그램 운영

내외부 전문가 초빙 강연 ‘DGB 인사이트’, 독서토론 모임 ‘북잇토크’ 등 프로그램 마련

(조세금융신문=방영석 기자) DGB생명은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금융 전문가로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자기계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DGB생명은 25일 DGB금융센터 대강당에서 ‘DGB 인사이트(Insight)’ 강연을 진행했다. 이달부터 매월 둘째, 넷째주에 진행 예정인 ‘DGB 인사이트’는, 회사 안팎의 전문가를 통해 비즈니스 트렌드를 짚어보고 보험업계의 주요 이슈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는 강연 프로그램으로 임직원들은 매월 개별 신청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이날 강연의 첫 번째 세션에서는 금융소비자연맹 조연행 회장이 ‘보험소비자는 반란(反亂)을 원한다’는 주제로 보험소비자 보호에 필요한 임직원들의 역량과 자질은 무엇인지 보험 소비자의 관점에서 들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보험연구원 김해식 박사가 ‘보험산업 진단과 과제’라는 주제를 통해 최근 보험산업이 처한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또한 DGB생명은 임직원 독서토론 모임인 ‘북잇토크’도 진행하고 있다. ‘북잇토크’는 관리자급 이상의 직원들을 중심으로 매월 리더십, 인문학과 관련된 주제의 책을 선정해 이를 읽고 서로의 생각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이다. 지난 10월에는 에이미 에드먼드슨 교수의 저서 ‘두려움 없는 조직’을 선정하여 모든 것이 불안정한 코로나19 시대에 어떻게 하면 조직 구성원들에게 심리적 안전감(Psychological safety)을 줄 수 있는지 논의했다.

 

이런 사내 자기계발 프로그램들은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해 참가자 전원 마스크 착용 및 거리두기 착석 등 방역지침을 철저히 준수하여 진행 중이다. 특히 ‘DGB 인사이트’의 경우 많은 인원이 모여 강의를 듣는 것의 위험성을 고려해 화상 회의 앱 ‘줌(ZOOM)’을 활용하여 온라인으로 실시간 및 녹화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DGB생명 관계자는 “이런 다양한 강연이나 프로그램들이 임직원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보험산업 트렌드를 선도할 역량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모든 DGB생명 임직원이 더 신뢰받는 금융전문가로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전문가 코너

더보기



[데스크 칼럼] 젊기도 설워라커늘 짐을 조차 지라고 해서야
(조세금융신문=손영남 편집국 부국장) 식당이나 술집 계산대 앞에서 옥신각신하는 모습은 우리에겐 일상과도 같다. 서로 내겠다며 다툼 아닌 다툼을 벌이는 모습이야말로 그간의 한국 사회를 대변하는 상징적인 모습이었달까. 주머니의 가벼움에도 아랑곳하지 않는 그런 대범함(?)은 그만큼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깔려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앞으론 그런 훈훈한 광경을 보지 못하게 될 확률이 높다. 요즘의 젊은 친구들, 그러니까 소위 MZ세대라고 불리는 층에서는 상상도 못 할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가 먹지도 않은 것까지 계산해야 한다는 걸 받아들일 수 없는 이들이 MZ세대다. 누구보다 실리에 민감한 세대인 탓이다. 그들을 비난할 의도는 전혀 없다. 오히려 그게 더 합리적인 일인 까닭이다. 자기가 먹은 건 자기가 낸다는 데 누가 뭐랄까. 근데 그게 아니라면 어떨까. 바꿔 생각해보자. 다른 사람이 먹은 것까지 자기가 내야 한다면 그 상황을 쉬이 받아들일 수 있을까. 더구나 그게 자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작금의 연금 개혁안을 두고 MZ세대들이 불만을 토하고 있는 현 상황이 딱 그 꼴이다. 어렵게 번 돈을 노후를 위해 미리 쟁여둔다는 것이 연금의 기본 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