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문화

[신간]가족신탁 이론과 실무

자산승계와 가업승계를 위한 가장 현명한 재산관리도구 '가족신탁'

(조세금융신문=구재회 기자)

"신탁은 '가장 창조적인 재산관리도구'다.
사회가 신탁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우리나라 가족신탁의 미래가 결정된다."

 

유튜브 채널 '신탁고수'를 운영하며 가족신탁 활성화를 위해 신탁 경험을 공유하는 '신탁고수' 오영표 변호사가 책을 발간했다.

 

오영표 변호사는 현재 부의 세대이전이 시작되고 있는 국내 상황에서 가족신탁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많은데 '가족신탁'은 생소한 개념이고, 여전히 많은 전문가들은 가족신탁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안타까움을 느껴 책을 집필하게 됐다고 한다.

 

이 책은 신탁법 이론을 깊이 다루지는 않았다. 대신 가족신탁 설계를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인 신탁법 이론을 체계적으로 다뤄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데 초점을 뒀다.

 

변호사, 법무사, 세무사, 회계사, 노무사 등 자산승계를 둘러싼 다양한 전문가들이 짧은 시간 내에 가족신탁을 설계해 의뢰인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핵심을 다뤘다. 현행 민법의 증여, 상속, 후견 제도를 활용한 자산승계계획 수립과 가족위험관리 도구로서의 활용과 그 한계를 분석했다.

 

또한 자산승계계획의 수립을 염두에 둔 이들이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신탁 이론을 비롯한 관련 사례, 법령, 논문 등을 수록됐다.

 

아울러 가족신탁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계약서와 그에 대한 해설을 제시해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가족신탁을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계약서를 넣었다.


이 책에서 소개된 신탁설계 부분은 아직 대법원의 확립된 판례가 없는 내용이지만, 우리나라 민사법과 신탁법을 조화롭게 해석하면서 만든 신탁설계이므로 실제 활용하는 데는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오영표 변호사는 ‘신탁을 활용한 자금조달의 법적 연구(2014)’라는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으며 신탁의 매력에 빠졌다. 이후 자금조달 측면에서 신탁업무를 시작했고, '가족신탁'은 보다 더 창조적인 재산관리도구라는 점을 깨달았다. 지난 5년간 가족신탁 업무만을 전담하며 1000여 건의 설계 경험을 축적했다. 현재 신영증권(주) 패밀리헤리티지본부 본부장, 한국신탁학회 기획이사, 한국증권법학회 기획이사를 맡고 있다.

 

<가족신탁 이론과 실무/오영표/(주)조세통람/6만원/536페이지>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인터뷰]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 권역별 회원 교육에 초점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임채수 서울지방세무사회장은 지난해 6월 총회 선임으로 회장직을 맡은 후 이제 취임 1주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임 회장은 회원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지방회의 가장 큰 역할이라면서 서울 전역을 권역별로 구분해 인근 지역세무사회를 묶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어 회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올해 6월에 치러질 서울지방세무사회장 선거 이전에 관련 규정 개정으로 임기를 조정해 본회인 한국세무사회는 물론 다른 모든 지방세무사회와 임기를 맞춰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물론 임원의 임기 조정을 위해서는 규정 개정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임기 조정이라는 입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은 처음이라 주목받고 있다. 임채수 회장을 만나 지난 임기 중의 성과와 함께 앞으로 서울지방세무사회가 나아갈 길에 대해 들어봤다. Q. 회장님께서 국세청과 세무사로서의 길을 걸어오셨고 지난 1년 동안 서울지방세무사회장으로서 활약하셨는데 지금까지 삶의 여정을 소개해 주시죠. A. 저는 1957년에 경남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8남매 중 여섯째로 태어났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대부분 그랬듯이 저도 가난한 집에서 자랐습니다. 그때의 배고픈 기억에 지금도 밥을 남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