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8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기상청 제공

서울 집값, 4주 연속 하락세…역시 마지막 상승 보루지는 ‘서초’

부동산원,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이미지=한국부동산원]
▲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이미지=한국부동산원]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4주째 하락했다. 서울 집값 상승세를 유지하던 용산 마저 보합세를 기록하며 상승세는 유일하게 서초만 남았다.

 

한국부동산원은 6월 셋째 주(20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지난 주(-0.02%) 대비 하락폭이 확대된 –0.03%를 기록했다. 이 기간 수도권과 서울 역시 각각 -0.04%, -0.03%를 기록하며 수도권 하락폭을 키웠다.

 

서울은 4주 연속 집값이 빠졌다. 25개 자치구 가운데 아파트값이 유일하게 오른 곳은 서초구(0.02%)뿐이다.

 

서울은 4주 연속 집값이 빠졌다. 급격한 금리인상 부담과 국내외 경제위기 우려 등이 하방압력으로 작용해 매수세가 줄어든 게 컸다. 지난 17일 잠실, 삼성, 청담 대치동 등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된 점도 거래활동을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강북은 지난 주(-0.02%) 보다 0,02%p 감소한 –0.04%를 기록했다. 서대문구(-0.06%)는 홍은·북아현동 중소형 위주로, 노원구(-0.05%)는 상계·중계동 대단지 위주로, 은평구(-0.05%)는 매물이 적체된 녹번동 위주로 상승세가 감소하는 등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폭이 확대됐다.

 

강남구는 지난주와 동일한 하락폭(-0.01%)을 나타냈다. 서초구(0.02%)는 반포동 재건축이나 중대형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구(0.00%)는 단지별로 상승과 하락이 뒤섞이면서 보합을 보였다. 송파구(-0.02%)는 문정·잠실·신천동 주요 단지가 나란히 하락했다. 그 외 강서(-0.04%)·강동(-0.03%)·영등포구(-0.01%) 등 대다수 지역에서도 약세를 지속했다.

 

특히 서울에서 상승세를 유지하던 용산(0.00%)은 13주만에 상승세를 멈췄다. 용산은 대통령실 이전 효과로 오름세를 이어왔지만 서울 전체에 강하게 작용한 하락 요인을 버티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은 “급격한 금리인상 부담과 경제위기 우려가 지속된 가운데 토지거래허가국역 재지정 등 다양한 하방압력으로 매수세와 거래 활동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인천(-0.06%)은 전주(-0.05%)보다 하락폭이 커졌다. 대체로 신규 입주물량 부담 지속되고, 지난해 급등 피로감 등으로 매수세가 위축됐다. 연수구(-0.13%)는 송도동 신축 위주로, 동구(-0.09%)는 교통 및 학군 양호한 송현동과 만석동 위주로 매물이 적체됐다. 서구(-0.08%)는 청라국제도시 위주로 하락거래가 발생하는 등 인천 전체가 하락폭이 확대됐다.

 

경기(-0.04%)는 6주 연속 하락을 이어갔다. 이천시(0.32%)·평택시(0.10%)는 직주근접 수요 있는 지역 위주로, 성남 분당구(0.03%)·고양 일산서구(0.03%)는 정비사업 기대감으로 상승했다. 그러나 시흥시(-0.20%)는 월곶동 중소형 단지 및 배곧동 위주로, 광명시(-0.16%)는 일직·소하동을 중심으로, 의왕시(-0.15%)는 포일동 등 위주로 하락하는 등 전체 하락폭을 확대했다.

 

지방 아파트 매매가격은 0.02% 줄었다. 지난주 가장 큰 폭의 하락세(-0.17%)를 보인 세종은 고운동과 다정동을 중심으로 급매 거래가 발생하며 0.15% 떨어졌다.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하락했다. 서울과 경기는 각각 0.01%, 0.02% 하락하며 전주 하락폭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고 인천은 0.09% 떨어졌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전문가 코너

더보기



[시론] 이재명 vs 김문수, 조세정책의 길을 묻다
(조세금융신문=안경봉 국민대 명예교수, 법무법인 율촌 상임고문) 2025년 대선을 앞두고 조세정책은 단순한 세금의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철학과 재정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세금은 사회계약의 이행 수단이며, 공공서비스의 재원일 뿐 아니라 미래세대와의 약속이라는 점에서 각 후보의 조세 비전은 중요한 정책 선택의 기준이 된다. 이재명 후보는 ‘조세 정의’와 ‘보편 복지’를, 김문수 후보는 ‘감세와 시장 자율’을 중심 기조로 내세운다. 이처럼 상반된 철학이 세금 정책으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를 살펴보는 일은 유권자에게 실질적 판단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재명 후보: 분배 정의와 조세 환류 이재명 후보는 국토보유세, 금융소득 통합과세, 디지털세, 탄소세 등 자산과 환경에 기반한 새로운 세목의 신설 또는 기존 세목의 강화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과세를 통해 형성된 세수를 ‘조세환급형 기본소득’ 형태로 전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환급함으로써, 소득 재분배와 소비 진작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금융소득 통합과세는 기존의 분리과세 방식을 폐지하고 이자‧배당 등 금융소득을 종합소득에 포함시켜 누진세를 적용함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