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13 (금)

  • 맑음동두천 -1.4℃
  • 맑음강릉 3.1℃
  • 맑음서울 1.0℃
  • 맑음대전 0.5℃
  • 맑음대구 3.1℃
  • 구름조금울산 3.4℃
  • 맑음광주 0.5℃
  • 맑음부산 4.1℃
  • 맑음고창 -1.6℃
  • 구름조금제주 7.5℃
  • 맑음강화 -0.4℃
  • 맑음보은 -2.2℃
  • 맑음금산 -1.4℃
  • 맑음강진군 2.2℃
  • 맑음경주시 3.4℃
  • 구름조금거제 5.2℃
기상청 제공

[국감-국토위] 송석준 의원 “LH 공급실적 부풀리기 바빠…매입임대 3년새 3배 폭증”

 

(조세금융신문=이정욱 기자) LH가 공급실적 부풀리기에 바빠 정작 계층별 수요에 부응하지 못하면서 매입임대주택 공가가 2018년 대비 올해 3배나 폭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경기·이천시)이 LH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매입임대주택 공가와 공가율은 2018년 1920호, 2.1%에서 2021년 6월 말 기준 5785호, 4.0%로 늘어나 공가는 3배가 증가했고 공가율도 2배 가까이 폭증했다.

 

LH가 매입임대 공급물량을 2016년~2018년 기간 1만호, 2019년~2020년 2.2만호, 2021년 6월 현재까지는 4.4만호를 공급하며 공급량을 꾸준히 늘려왔지만 같은 기간 공가 호수도 대폭 발생한 것이다.

 

매입임대주택의 유형별 최대 공가율을 살펴보면, 일반은 40㎡ 미만이 2.7%에 불과했지만, 기숙사 60∼85㎡ 33.3%, 청년 85㎡초과는 26.7%, 다자녀 40~60㎡ 25.5%에 달했고, 신혼Ⅰ유형은 40㎡미만 12.9%, 신혼Ⅱ유형 40~60㎡ 20.4%, 고령자 40㎡미만 14.7%로 나타났다.

 

이처럼 매임입대 유형별 및 규모별로 공가율이 높게 나타나고, 또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각 계층별 선호에 부합하지 못하는 주택 공급이 가장 큰 이유였던 것으로 지적된다.

 

청년층에게 85㎡이상의 매입임대 공가율이 가장 컸던 이유는 너무 평수가 커 외면 받았기 때문이고, 기숙사의 경우 60~85㎡규모가 공가율이 높았던 이유는 기숙사는 쉐어형으로 독립공간 선호 청년층의 외면을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신혼층은 선호평수가 60㎡ 이상인데, 그보다 작은 평수를 제공했을 경우 선호도를 충족하지 못했으며, 다자녀계층(2자녀 이상)은 가족구성상 85㎡이상을 선호하지만 그보다 작은 평수의 매입임대는 선호하지 않기 때문이었다는 게 송 의원 설명이다.

 

또한, 고령자는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40㎡ 미만의 공가율이 높았던 이유는 고령자는 살림이 많고 폐쇄감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작은 평수는 외면 받았기 때문이다.

매입임대주택의 공가율이 높았던 이유는 주택 시세를 반영하지 못한 현실성 없는 매입지원단가도 한몫했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문재인 정부 들어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의 집값은 폭등한 것에 반해 수도권의 매입지원단가는 오히려 감소했다.

 

서울지역 신혼Ⅰ유형 매입지원단가는 2019년 2억3000만원에서 2020년 1억9000만원으로 4천만원 감소했고, 신혼Ⅱ유형은 2019년 4억6000만원에서 2020년 4억3600만원, 2021년 4억5400만원이지만 여전히 2019년 대비 낮았다.

 

송 의원은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은 필요하지만, LH가 공급실적에만 급급해 계층별 수요 파악도 제대로 못하고 임대주택을 공급해 텅텅비어 있는 상황”이라며 “계층별 수요와 부동산 가격 상승을 제대로 반영하는 임대주택 공급과 지원으로 정책효과를 높이고 놀리는 임대주택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배너

전문가 코너

더보기



[송두한 칼럼] 건전재정에서 민생 확대재정으로 전환해야
(조세금융신문=송두한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 건전재정은 관치에 뿌리내린 시장주의 이념이 만들어낸 국정 기조이지만, 이제는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시스템 리스크로 진화하고 있다. 세수펑크 처방전은 국채발행 금지와 부자감세 원칙을 유지하며 고강도 긴축재정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다. 세수펑크를 막기 위해 한은 급전이나 기금 돌려막기에 의존하거나, 그것도 어려우면 국민들이 더 허리띠를 졸라맬 수밖에 없다. 결국, 건전재정을 강조할수록 재정 상황이 더 불건전해지는 재정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문제는 건전재정이 재정 이슈에 국한되지 않고 경제정책 전반에 2차 충격을 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중산층과 서민경제가 어려울 때 일방적인 민생 긴축재정을 고집하면, 구조적 소득충격이 만성적 내수불황으로 이어지는 단초를 제공하게 된다. 최근 재정발 경제위기, 즉 2년 연속 “1%대 저성장 쇼크”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내수불황을 타개할 수 있는 특단에 특단의 내수진작책이 필요한 이유다. 진짜 건전재정은 경기가 어려울 때 재정을 풀어 경제를 살려내고 경제가 좋아져 다시 곳간을 채우는 전문 역량을 요구한다. 건전재정발 세수펑크에 더 불건전해진 나라살림
[인터뷰] 이석정 前 세무사고시회장 “고시회, 세전포럼, 전국순회교육으로 한 단계 도약”
(조세금융신문=이지한 기자) 이석정 제26대 한국세무사고시회장이 2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장보원 신임 회장에게 바통을 넘겼다. 2022년 임기를 시작하면서 ‘회원 중심, 행동하는 고시회’를 모토를 내걸었던 이석정 號(호)는 세무사로서 첫발을 내딛는 청년 회원의 고충을 덜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세무사전문분야포럼을 창설하고 개인의 전문성을 높이지 않으면 세무업계에서 생존할 수 없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던졌다. 또, 지방세무사고시회와의 연대를 강화하면서 전국순회교육을 차질 없이 진행했다. 이전부터 진행됐던 청년세무사학교도 꾸준히 이어가면서 창업 멘토링스쿨의 의미를 더욱 깊게 새기게 됐다. 이석정 전 한국세무사고시회장을 만나 2년 간의 임기를 되돌아봤다. Q. 지난 2년 간의 한국세무사고시회장의 임기를 돌아보면서 감회가 남다를 듯합니다. 소감 말씀해 주시죠. A. 2년이 너무 짧게 지나간 것 같습니다. ‘회원 중심! 행동하는 고시회’를 모토로 26대 고시회가 22년 11월에 닻을 올렸는데 어느덧 마무리했습니다. 전 임원이 합심하여 계획 및 실행하였고 많은 회원께서 물심양면으로 협조해 주셔서 2년간 행복하게 지낸 것 같습니다. 물론 아쉬움도 많이 남습니다만, 27대가 더